티스토리 뷰


상편 '보병부대의 소총소대 및 분대 이야기 (링크)'에 이어 이번 하편에서는 중대, 대대 편성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육군 소충중대(보병중대) 편성 예시
5번 그림 - 보병 소총중대 편성 사례


위 5번 그림의 편성표는 육군 보병부대의 소총중대(小銃中隊, Rifle Company) 편성 사례입니다. 병과 명칭을 붙여서 보병중대(步兵中隊, Infantry Company)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위 편성표는 화기소대(火器小隊, Weapons Platoon) 없이 중대본부(中隊本部, Company Headquarters)와 3개 소총소대(小銃小隊, Rifle Platoon)로 이루어진 1개 중대(中隊) 편성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총소대는 상편의 4번 그림에서 확인한 편성을 그대로 적용하였습니다.

만일 중대에 화기소대가 있더라도 실제 공격 또는 방어 작전시에는 화기소대가 장비한 60mm 박격포, 중기관총, 대전차 미사일 등의 전력을 다른 3개 소총소대에 분산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아예 화기소대를 폐지하고 이처럼 중대본부에 포반(砲班, Gun Section)을 두고 중대장이 직접 중화기를 집중 또는 분산 운용합니다. 공격 작전시에는 공격을 담당한 제1소대, 제2소대를 박격포 3문으로 직접 지원하고(제3소대는 예비), 방어시에는 중대가 보유한 3문의 박격포를 소대마다 각 1문씩을 배치하는 식입니다.

위 편성표의 중대는 133명 편성이지만, 화기소대가 별도로 있다면 150명 내외로 인원이 증가합니다. 3각 편제가 아닌 4각 편제를 채택하여 제1소대부터 제4소대까지 있으면 거의 200명이 됩니다. 또 각 소총소대 편성이 37명이 아닌 30명 초반 수준이면 1개 중대 병력은 120명 남짓이 될 것입니다. 즉, 어떤 식으로 분대, 소대, 중대본부 등을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1개 소총중대 인원이 100명에서 200명 사이를 오갑니다.

육군 보병대대 편성 사례 - Infantry Battalion Organization
6번 그림 - 육군 보병대대 편성 사례


위 6번 그림은 육군 보병대대(步兵大隊, Infantry Battalion) 펀성 사례입니다. 왼쪽은 3개 소총중대로 구성된 편성례를, 오른쪽은 3개 소총중대와 1개 중화기중대(重火器中隊, Heavy Weapons Platoon)로 구성된 편성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5번 그림에서 살펴본 것처럼, 왼쪽은 박격포 12문과 무반동포 4문, 자동유탄발사기 4문 등을 장비한 중화기중대가 없으므로 대대 본부중대(本部中隊, Headquarters Company)에 화기소대, 대전차반 등을 두고 있습니다.

대대본부(大隊本部, Battalion Headquarters)에는 보통 중령이 맡는 대대장(大隊長), 소령급의 부대대장(副大隊長), 그리고 주임원사(또는 주임상사)로 이루어진 지휘부와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의 참모요원으로 구성된 대대 참모부(參謀部, Staff)가 있습니다. 부대 규모가 수백 명으로 이루어진 대대급이 되면 소대본부, 중대본부와 달리 본부 병력만 해도 100명이 넘기 때문에 일선 중대와 별개로 본부에도 별도의 중대를 두는데, 이를 본부중대(HQ Company)라고 합니다. 대대본부와 본부중대를 합쳐 '본부 및 본부중대(HHC,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라고 통칭하기도 합니다.

상급제대인 연대(聯隊, Regiment) 또는 여단(旅團, Brigade)을 구성하는 보병대대는 육군 보병부대의 기본 전술 단위부대(Basic tactical unit)입니다. 1개 보병사단(步兵師團, Infantry Division)에는 9개(3각편제)에서 12개(4각편제) 보병대대가 있는데, 이들 부대가 사단의 핵심 공격 및 방어 전력입니다. 1만 명이 넘는 사단에 500명 남짓한 보병대대가 9개뿐이라면 너무 적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여기에 전차대대, 수색대대 정도를 더해도 1개 사단에서 공격, 방어를 직접 감당하는 전투부대(Combat unit)는 생각보다 많지 않죠. 나머지 5,000명 가량은 실전에서 전투지원(Combat support), 전투근무지원(Combat service support)을 담당하는 포병, 공병, 통신, 의무, 군수, 수송 등의 부대입니다.

오른쪽 편성 대대는 각 소총중대마다 화기소대가 존재하고 따로 중화기중대까지 두고 있기 때문에 왼쪽 편성 대대보다 전체 인원이 약 150명 이상 많습니다. 여러분이 대대장이라면 어떤 대대를 지휘하고 싶으신가요?

North Korea Peoples Army Infantry Battalion TO (북한군 보병대대)
7번 그림 - 북한 조선인민군 보병대대 편성표


위 7번 그림은 북한군, 즉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 North Korea People's Army) 지상군 보병대대의 편성 사례입니다. 북한군은 구소련(舊蘇聯, Soviet Union) 군대의 편성 체계를 그대로 준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 육군이나 대한민국 국군의 편성과 일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군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련대(연대)나 대대와 같은 하급 제대에도 다수의 야포 전력을 중심으로 한 전투지원 병력을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위 대대 편성표에서도 대대 직할로 기관포(자동유탄발사기)와 비반충포(무반동포, 대전차로켓) 소대가 있고, 박격포 9문을 장비한 박격포중대가 별도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소총분대 수준을 봐도 각 분대가 경기관총 1정, 유탄발사기 2정, 7호발사관(RPG-7)과 같은 대전차로켓, 저격총 등이 장비한 12명 편성입니다.

대대급에서는 그나마 포병 화력이 경량화된 편입니다. 보병연대가 되면 3개 보병대대 외에 박격포대대(120mm 18문), 고사총중대(14.5mm 20정), 야포중대(76.2mm 6문), 방사포중대(107mm 다연장로켓 9문), 발사관중대(RPG-7), 공병중대, 통신중대, 화승총소대(SA-7 지대공미사일 12기), 경비소대, 화학소대, 정찰소대 등의 다수 연대 직할대를 두고 있어 거의 국군의 연대전투단(RCT)이나 독립 보병여단 수준의 화력을 상시 갖추고 있습니다. 공세 작전시에는 여기에 사단이나 군단에서 파견된 야포 전력이 추가됩니다. 단, 이처럼 다양한 병종의 부대가 하급 제대까지 소규모로 분산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급, 정비 등이 쉽지 않아 작전지속능력(Sustainment) 유지에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장점인 동시에 약점인 셈입니다.

북한군은 각 단위부대 본부(本部)를 '부'라고만 합니다. 대대본부를 대대부, 중대본부를 중대부, 소대본부를 소대부라고 하는 것이 그 예시입니다. 한자가 부(附)인지, 부(部)인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전자의 대대부(大隊附), 중대부(中隊附) 등은 대한제국 군대에서 사용된 적이 있으며, 근원을 따지면 당시 일본군에게서 유래된 것입니다. 이처럼 한자 부(附)를 사용한 대대부, 중대부 등은 대대 부속(附屬, 소속), 중대 부속(소속)이라는 의미가 강하므로 엄밀하게 따지면 본부(本部)와 구별되는 점이 있습니다. 북한군은 아마도 중국군에서 용어를 차용했으리라 봅니다만, 1927년에 창설된 중국 인민해방군(PLA)보다 역사가 앞서는 중화민국 군대도 1912년 창설 초기에는 일본군 용어 및 부대 편성 체제를 다수 받아들인 바 있습니다. (이 부분은 연구가 더 필요하겠군요.)


대대의 상급 제대인 연대, 사단 등의 편성에 관한 내용은 '다음 글(링크)'에서 이어집니다.



※ 북한군 대대 편성표는 (군사보안 부분에 덜 민감하므로) 인터넷상의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상대적으로 자세하게 기재하였습니다.

음료 한 잔 후원 블로그 주인장(글 작성자)에게 음료 한 잔 후원하기 : 토스로 익명 선물 (클릭)    토스로 익명 선물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