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정(雅亭)

프로필사진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
  • 태그
  • RSS

아정(雅亭)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16)
    • 일반 (29)
      • 기본 (14)
      • 문서 (2)
      • 군사 (11)
      • 냠냠 (2)
      • 소리 (0)
      • 신문 (0)
      • 인민 (0)
      • 삼클 (0)
      • 끄적 (0)
    • 역사 (73)
      • 일반 (12)
      • 사료 (3)
      • 자료 (5)
      • 사진 (6)
      • 문헌 (6)
      • 관아 (41)
      • 인물 (0)
    • 작문 (14)
      • 서사 (0)
      • 전기 (1)
      • 유기 (0)
      • 필기 (2)
      • 논변 (2)
      • 풍유 (0)
      • 서발 (4)
      • 비갈 (1)
      • 애제 (0)
      • 잡기 (4)
    • 갤러리 (0)
      • 디카 (0)
      • 손카 (0)
      • 그림 (0)
  • 방명록

역사/자료 (5)
충무공 이순신 장군 제2차 백의종군 남행 경로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장군이 1597년(선조30)에 두 번째 백의종군(白衣從軍)을 당해 최전선으로 향했다가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어 그해 9월에 명랑대첩(鳴梁大捷)을 거둔 곳 인근인 전라우수영 지역까지 이동한 경로를 표시한 남행도(南行圖)입니다. 예전에 올렸던 것인데, 일부 미비점이 있어 내용 보완 후 다시 등록(공개 전환)하는 것입니다. 지도는 1861년(철종12)에 간행된 〈동여도(東輿圖)〉 기준이며, 날짜별 행적 경로는 이은상(李殷相, 1903-1982) 역(譯)의 현암사 개정판 『난중일기(亂中日記)』 기술 내용에 기초하였습니다. 수록 기간은 정유재란(丁酉再亂)이 발발한 1597년(정유년) 4월 초1일에 옥문[圓門, 감옥 문] 밖을 나온 이후부터 동년 8월 초3일 진..

역사/자료 2023. 10. 14. 21:00 댓글
조선 후기 한성부(서울) 지도 : 현대 지명 표기

예전에 한국어 위키백과를 위해 제작하였던 조선시대 18세기 무렵의 한성부(漢城府, 서울)지도를 오랜만에 일부 보완하여 올려봅니다. 각 지명, 관청, 궁실의 위치와 형태를 대략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즉, 완벽한 고증을 거친 결과물이 아닙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 크기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P.S. 2010년 10월에 본 블로그에 등록한 '조선시대 한성부 실측지도 (클릭)' 역시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플래시(Flash) 파일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으므로 링크를 해제합니다.

역사/자료 2020. 7. 26. 22:04 댓글
진무(進武)

문도공(文度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이 그의 저서 『경세유표(經世遺表)』에서 제안한 과거(科擧) 제도 개정안. 현행. - 문과(文科)를 소과(小科)와 대과(大科) 2단계로 구분. - 소과는 향시(鄕試)인 초시(初試)와 회시(會試)인 복시(覆試) 2차로 구성되며, 최종적으로 생원(生員) 100명, 진사(進士) 100명 선발. - 대과는 향시, 복시, 전시(殿試)의 3차로 구성되며, 복시에서 급제자 33명 선발 후 전시에서 급제자 갑을병(甲乙丙) 등급 결정. - 무과(武科)는 초시인 향시 및 원시(院試)와 복시, 전시의 3차로 구성되며, 복시에서 급제자 28명 선발 후 전시에서 급제자 갑을병 등급 결정. - 정기 과거인 식년시(式年試)와 특설 과거인 증광시(增廣試) 이외의 별..

역사/자료 2008. 7. 6. 15:21 댓글
조선시대 한성부 및 팔도 감영 건물 배치도

+ 본 관청 청사 배치도는 조선시대 지도, 읍지, 문헌 및 관련 논문, 전문 서적, 언론 보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제작함.+ 각 감영(監營, 관아)의 상세 배치도는 아래에 링크한 사이버 조선왕조(http://www.1392.org) 각 지역별 관청(감영)의 안내 메뉴에서 확인 가능.* 사조 - 한성부 홈페이지 : http://www.1392.org/hsb (경조 안내 메뉴 클릭)* 사조 - 경기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ggd (기영 안내 메뉴 클릭)* 사조 - 충청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ccd (금영 안내 메뉴 클릭)* 사조 - 경상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gsd (영영 안내 메뉴 클릭)* 사조 - 전라감영 홈페이지 ..

역사/자료 2007. 8. 21. 06:10 댓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조선군 전사자 명단 (임시)

1866년(고종3) 병인양요(丙寅洋擾) 조선측 전사자 광주별파진(廣州別破陣) 최장근(崔長根), 김달성(金達成), 오준성(吳俊成) 문수진(文殊鎭) 백성 오돌중(吳乭仲) 강화부 남문수장(南門守將) 이춘일(李春日) : 2품직 추증 포수영장(砲手領將) 오처렴(吳處濂) : 전사? 전사자 1명 (성명 미상) : 정족산성수성장(鼎足山城守城將) 양헌수(梁憲洙)의 보고 강화부 백성 노인석(魯仁石), 조광보(曺光甫) : 총 쏘며 성으로 접근하다 사망 1871년(고종8) 신미양요(辛未洋擾) 조선측 전사자 덕포포군(德浦砲軍) 오삼록(吳三祿) : 통진부사(通津府使) 보고 (04.15) 중군(中軍) 어재연(魚在淵) : 병조판서 지삼군부사 예겸 추증, 충장(忠壯) 증시 학생 어재순(魚在淳) : 어재연 동생, 이조참의 추증 대솔군관..

역사/자료 2007. 6. 28. 23:20 댓글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안내] 관아 및 군사 분야 글 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사이버 조선왕조
  • nasica (나시카의 뜻은?)
  •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
  • 팬더 아빠의 전쟁사 이야기
  • 오로라의 군사·전쟁사
  • 미육군 편성 및 개편
  • 프라모델과 밀리터리
  • Board & HISTORY
  • 전차맨의 취미 모형
  • 금수님의 역사 그림들
  • 게렉터블로그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어물전 (舊천어망)
  • 무운정(霧韻亭)
  • 임진왜란 사료연구소
  • 외계인 마틴
  • 대한민국 문화재청
TAG
  • 조선시대
  • 한성부
  • 임진왜란
  • 대한제국
  • 삼척도호부
  • 아정
  • 세종대로
  • 동헌
  • 도필리
  • 호조
  • 육조거리
  • 관아
  • 객사
  • ROKA
  • 육군
  • 노무현
  • 창덕궁
  • 인민일보
  • 사이버 조선왕조
  • 조선왕조
  • 돈화문
  • 동래도호부
  • 손카
  • 경기감영
  • 선화당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도필리의 블로그 아정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