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정(雅亭)

프로필사진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
  • 태그
  • RSS

아정(雅亭)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17)
    • 일반 (29)
      • 기본 (14)
      • 문서 (2)
      • 군사 (11)
      • 냠냠 (2)
      • 소리 (0)
      • 신문 (0)
      • 인민 (0)
      • 삼클 (0)
      • 끄적 (0)
    • 역사 (74)
      • 일반 (12)
      • 사료 (3)
      • 자료 (5)
      • 사진 (6)
      • 문헌 (6)
      • 관아 (42)
      • 인물 (0)
    • 작문 (14)
      • 서사 (0)
      • 전기 (1)
      • 유기 (0)
      • 필기 (2)
      • 논변 (2)
      • 풍유 (0)
      • 서발 (4)
      • 비갈 (1)
      • 애제 (0)
      • 잡기 (4)
    • 갤러리 (0)
      • 디카 (0)
      • 손카 (0)
      • 그림 (0)
  • 방명록

일반 (29)
2025년에 아이폰4 개통하기

2025년 첫 본문을 5월 중순이 되어서야 올립니다. 본래 올리던 관아건축, 군사 관련 글이 아니네요. 혹시 그런 내용의 글을 기다리신 분들이 계신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작년 연말쯤에 나주목(羅州牧) 관아에 관한 글을 준비했던(?)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써야겠다는 대략적인 계획조차 기억이 희미해진 상황입니다. 아마 일러도 7월 즈음까지는 예전처럼 글을 쓰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블로그가 살아 있다는 것을 알릴 겸 잠시 쉬어가는 글을 올려봅니다.처음 사용했던 아이폰 모델이 아이폰5였습니다. 2012년 12월이었죠. 전면 디스플레이가 파손되기까지 약 2년 정도 썼습니다. 아이폰5 특유의 디자인과 사이즈가 참 마음에 들었었는데, 사실 개인적으로 아이폰 중에 가장 좋아했..

일반/기본 2025. 5. 15. 23:14 댓글
대한민국 육군 장교 계급장 변천 내역

본문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몇 자 적어봅니다.이달 12월 3일에 있었던 비상계엄, 즉 내란 사태와 관련하여 속속 밝혀지고 있는 소식을 접하고 보니 현재 군(軍) 상층부가 '개판 5분 전'이 아닌, 그야말로 '개판' 그 자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평상시 군령권(軍令權, 전투부대 작전지휘권)은 합동참모본부 의장인 합참의장에게, 육군 조직에 대한 군정권(軍政權, 육군부대 행정권 및 비전투부대 지휘권)은 육군참모에게 주어져 있고, 계엄 선포시 계엄 지역 내에서의 행정, 사법 등에 관한 사무 및 통제 권한이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에게 있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지휘 계선 및 통제 체계(지휘시스템)가 완벽하게 무시된 상태에서 각급 부대가 동원된 것이 이번 사태에 있어 군사상의 문제점 내지 의문점입니다.야..

일반/군사 2024. 12. 22. 23:22 댓글
관아건축회 소장 회엽서(繪葉書) 목록

※ 일명 '관아건축회(官衙建築會)' 소장 조선시대 관청 건물 소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제작 회엽서(繪葉書) 가운데 일부 목록을 정리한 것입니다. 회엽서(絵葉書)는 당대에 사용된 일본어 단어이며, '그림 회(繪)'라는 글자 뜻만 보면 그림엽서를 의미하지만 통상 사진엽서를 지칭합니다. 아래 목록의 각 명칭은 엽서에 기재된 제목 또는 설명 기준이 아닌, 각 지역별 및 분류별 나열에 따른 임의 기록입니다.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성부1. 경복궁 광화문 4매 : 육조거리 전경2. 창덕궁 돈화문 1매 (1908년 이전)3. 창덕궁 서편 일대 전경 4매4. 경운궁 중층 중화전 1매 : 덕수궁5. 대한제국 통신원 및 통감부 통신관리국 1매 : 공조 당상대청6.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 1매 : 이조, 한성부..

일반/문서 2024. 9. 1. 23:08 댓글
대한민국 육군 병사 복무기간 및 진급시기 변천 내역

오랜만에 돌아온 군사 카테고리 글입니다. 군사 계급(호칭)에 관한 분야로 한정하면, 그동안 2편의 글을 통해 육군 계급 체계(새창열기 링크) 및 계급 제도 변천 역사(새창열기 링크)에 관해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이번 제3편은 육군 병사, 즉 병(兵) 계급의 복무기간 및 진급시기 변동 내역을 이미지 2장으로 정리한 후,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 글입니다.1945년 해방 후 1946년 1월부터 본격 시작된 국방경비대 창설을 시작으로 한 건군기(建軍期, 창군기)의 병사 계급은 일등병사, 이등병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946년 12월 1일자로 계급제도를 정비하여 병 계급을 하사(下士), 일등병(一等兵, 일병), 이등병(二等兵, 이병) 체제로 개편합니다. 그리고 전편 글에서 살펴봤던 것처럼, 1957년 1월..

일반/군사 2024. 8. 11. 22:12 댓글
대한민국 육군 계급 제도 변천

지난 8월에 올린 글에서 육군 계급 체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문서 새창열기 링크). 간혹 '일등상사', '이등중사' 등의 검색어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이번에는 건군 이후 대한민국 육군의 계급 제도 변동 내역에 관해 역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지난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적색 바탕은 장성(將星, 장군), 보라색은 영관(領官), 파란색은 위관(尉官), 노란색은 준사관(準士官), 녹색은 부사관(副士官, 하사관), 갈색은 병급(兵級)입니다.1945년 8월 15일 해방 다음 해인 1946년 1월 15일에 남조선국방경비대 제1연대가 정식 창설하였으며, 이때 계급 명칭이 마련됩니다.영관 : 정령(正領), 부령(副領), 참령(參領)위관 : 정위(正尉), 부위(副尉), 참위(參尉)하사관 : 대..

일반/군사 2023. 11. 5. 22:20 댓글
제천시 봉양읍 소재(?) 충북선 연박역 이야기

지도에만 존재하는 기차역이 있습니다. 바로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 속의 철도역 연박역(硯朴驛)입니다. 위 지도는 충북선(忠北線) 연박역(硯朴驛)이 표시된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시대별 지형도입니다. A 지도는 1970년대 지형도입니다. 아직 충북선이 연박리(硯朴里) 지역이 지나지 않았던 시절의 지도이기 때문에 연박역이 없습니다. 연박리 북서쪽의 원박리(院朴里) 지역을 지나던 충북선이 이곳 연박리 지역으로 옮겨진 것은 1980년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충북선 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봉양역(鳳陽驛)과 공전역(公田驛) 사이의 선로를 최대한 직선화시키고 선로의 고저 차이에 의한 철도 운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이설 공사를 추진했던 것입니다. 경사도(선로 기울기)가 높아 긴 화물열..

일반/기본 2023. 9. 24. 16:42 댓글
육군 계급 체계 이야기

그간 몇 편 올린 '군사' 카테고리 글을 통해 보병, 기갑(전차), 포병 등의 각급 부대 편성에 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은 그러한 군부대를 지휘하고 운영하는 주요 구성원의 계급 체계에 관한 내용입니다.위 이미지는 대한민국 육군 기준 계급 명칭과 계급장, 그리고 각 계급별 군대 주요 직책을 정리 및 기재한 것입니다.전체 20단계로 구성된 군대 계급은 크게 장성급(將星級), 영관급(領官級), 위관급(尉官級), 준사관(準士官), 부사관(副士官), 병(兵) 등으로 구분됩니다. 장성급은 2017년 3월 21일 〈군인사법〉 개정 이전에는 장관(將官)으로 되어 있었으나 한글로 표기할 때 국무위원인 장관(長官)과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장성(將星)으로 수정되었습니다. 병급의 상병(上兵)은 상등병(上等兵, C..

일반/군사 2023. 8. 19. 23:20 댓글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안내] 관아 및 군사 분야 글 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사이버 조선왕조
  • nasica (나시카의 뜻은?)
  •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
  • 팬더 아빠의 전쟁사 이야기
  • 오로라의 군사·전쟁사
  • 미육군 편성 및 개편
  • 프라모델과 밀리터리
  • Board & HISTORY
  • 전차맨의 취미 모형
  • 금수님의 역사 그림들
  • 무운정(霧韻亭)
  • 임진왜란 사료연구소
  • 게렉터블로그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외계인 마틴
  • 대한민국 문화재청
TAG
  • 손카
  • ROKA
  • 삼척도호부
  • 동헌
  • 호조
  • 임진왜란
  • 도필리
  • 대한제국
  • 돈화문
  • 육군
  • 객사
  • 동래도호부
  • 노무현
  • 조선왕조
  • 경기감영
  • 관아
  • 세종대로
  • 사이버 조선왕조
  • 창덕궁
  • 아정
  • 인민일보
  • 한성부
  • 육조거리
  • 조선시대
  • 선화당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도필리의 블로그 아정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