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정(雅亭)

프로필사진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
  • 태그
  • RSS

아정(雅亭)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19)
    • 일반 (29)
      • 기본 (14)
      • 문서 (2)
      • 군사 (11)
      • 냠냠 (2)
      • 소리 (0)
      • 신문 (0)
      • 인민 (0)
      • 삼클 (0)
      • 끄적 (0)
    • 역사 (75)
      • 일반 (12)
      • 사료 (3)
      • 자료 (5)
      • 사진 (6)
      • 문헌 (6)
      • 관아 (43)
      • 인물 (0)
    • 작문 (14)
      • 서사 (0)
      • 전기 (1)
      • 유기 (0)
      • 필기 (2)
      • 논변 (2)
      • 풍유 (0)
      • 서발 (4)
      • 비갈 (1)
      • 애제 (0)
      • 잡기 (4)
    • 갤러리 (0)
      • 디카 (0)
      • 손카 (0)
      • 그림 (0)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119)
전라도 나주목 동헌, 작청 등 관아 건물 배치 이야기

8월과 9월에 글을 올리지 못하고 10월초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이 되어서야 이렇게 올려봅니다. 몇 번 예고한 대로 이번 글은 전라도 나주목(羅州牧) 동헌(東軒) 등 건물의 배치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원래 지난 2024년 연말에 올릴 계획이었는데, 이런저런 안팎의 사정으로 차일피일 지체되다 보니 거의 10개월 정도 늦어졌습니다.최근 다시 작업을 하려고 각종 자료를 점검하다 보니, 본문에서 다루고자 했던 내용과 거의 비슷한 부분에 초점을 둔 논문(신웅주, 「사진 기록을 통해 본 나주목 동헌의 위치와 구조」, 2025)이 올해 봄 발행된 건축역사학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에 수록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마침, 지난달 15일에는 논문 저자로 추정되는 분께서 직접 운영하는 추정되는 블로그(새창 보기 링크)에 해당 ..

카테고리 없음 2025. 10. 9. 21:58 댓글
조선전기 동래읍성 추정 배치도

얼마 전에 동래도호부 동헌 건물 배치를 다룬 글에 조선 전기(前期), 즉 임진왜란 당시 동래도호부 읍성인 동래읍성(東萊邑城)의 주요 성문 위치를 궁금해하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동헌, 객사 등의 건물 배치와 만년대 소재지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 적이 있었기에 관련 자료를 수집한 적이 있으므로 그 내용을 토대로 조선시대 동래읍성 배치에 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동래읍성은 1731년(영조7)에 크게 개축되었습니다. 이때 축성된 읍성이 조선후기 읍성이라고 불리는, 현재 남아 있는 읍성이며, 그 이전 읍성을 전기 읍성으로 구분합니다. 종전 이후 130여 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여러 변화가 있었을 수 있지만 대체로 1731년 개축 이전의 읍성을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이라고 봅니다.필자가 1912년경 ..

역사/관아 2025. 7. 29. 22:55 댓글
초량왜관 인근 초량객사 및 성신당 위치 비정 (추가)

며칠 전에 부산광역시 모처에서 부산 지역사 연구단체 회원분께 '부산 초량 지역 조선측 관아 시설'에 관해 소략한 발표를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 발표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표 주제 내용이 주로 소개되었던 지난 2023년 7월 31일자 블로그 글 이후에 '추가 수집하고 확인했던 내용'을 보완하고 강화하는 차원에서 수록할 수 있었고, 발표가 끝난 지금 간단히 3개 이미지로 축약해 올리는 것으로 약 2년 전에 올렸던 글의 내용을 보충해 봅니다. 이미지 번호는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위 10번 지도는 국가기록원 소장 이미지는 〈대청부산전관거류지전도(大淸釜山專管居留地全圖)〉입니다. '大淸(대청)'이라는 명칭이 붙어 있어 있기 때문에 책자 또는 자료로 '편집할 시기'가 1909년이고 실제 '지도 작성 시점'..

역사/관아 2025. 6. 28. 21:22 댓글
2025년에 아이폰4 개통하기

2025년 첫 본문을 5월 중순이 되어서야 올립니다. 본래 올리던 관아건축, 군사 관련 글이 아니네요. 혹시 그런 내용의 글을 기다리신 분들이 계신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작년 연말쯤에 나주목(羅州牧) 관아에 관한 글을 준비했던(?)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써야겠다는 대략적인 계획조차 기억이 희미해진 상황입니다. 아마 일러도 7월 즈음까지는 예전처럼 글을 쓰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블로그가 살아 있다는 것을 알릴 겸 잠시 쉬어가는 글을 올려봅니다.처음 사용했던 아이폰 모델이 아이폰5였습니다. 2012년 12월이었죠. 전면 디스플레이가 파손되기까지 약 2년 정도 썼습니다. 아이폰5 특유의 디자인과 사이즈가 참 마음에 들었었는데, 사실 개인적으로 아이폰 중에 가장 좋아했..

일반/기본 2025. 5. 15. 23:14 댓글
대한민국 육군 장교 계급장 변천 내역

본문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몇 자 적어봅니다.이달 12월 3일에 있었던 비상계엄, 즉 내란 사태와 관련하여 속속 밝혀지고 있는 소식을 접하고 보니 현재 군(軍) 상층부가 '개판 5분 전'이 아닌, 그야말로 '개판' 그 자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평상시 군령권(軍令權, 전투부대 작전지휘권)은 합동참모본부 의장인 합참의장에게, 육군 조직에 대한 군정권(軍政權, 육군부대 행정권 및 비전투부대 지휘권)은 육군참모에게 주어져 있고, 계엄 선포시 계엄 지역 내에서의 행정, 사법 등에 관한 사무 및 통제 권한이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에게 있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지휘 계선 및 통제 체계(지휘시스템)가 완벽하게 무시된 상태에서 각급 부대가 동원된 것이 이번 사태에 있어 군사상의 문제점 내지 의문점입니다.야..

일반/군사 2024. 12. 22. 23:22 댓글
팔도 감영(監營) 주요 건물 및 편액 이야기 하편 - 황해 강원 평안 함경도

경기감영, 충청감영, 경상감영, 전라감영 내용을 다뤘던 같은 제목의 전편(새창 열기 링크)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예고했던 것처럼 이번 편에서는 황해감영, 강원감영, 평안감영, 함경감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5. 황해감영황해감영(黃海監營)은 황해도 해주목(海州牧)에 있었습니다. 해주읍성 서문(西門)인 선위문(宣威門) 안쪽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감영 앞 연못에 있던 부용당(芙蓉堂)을 제외한 거의 모든 건물이 사라졌습니다. 특히 관찰사가 공식 업무를 보던 선화당(宣化堂) 건물은 1927년에 황해도청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민간에 불하(拂下, 매각)되었는데, 1935년에 해주 시장 근처에서 선화당 건물을 바라본 감회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온전히 다른 곳으로 이전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

역사/관아 2024. 11. 24. 23:04 댓글
팔도 감영(監營) 주요 건물 및 편액 이야기 상편 - 경기 충청 경상 전라도

※ 지난 9월 12일에 블로그 방문자 숫자가 30만을 돌파했습니다. 25만을 넘었던 것이 올해 초 1월 말이었으니, 불과(?) 9개월 사이에 다시 5만이 증가한 것이네요. 20만에서 25만을 경과할 때는 7개월이 걸렸던 것에 비하면 다소 느슨해진 감이 있기는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방문자는 블로그의 주 컨텐츠인 조선시대 관아 건축물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군사, 군대에 관한 게시물 때문에 찾아오신 분들이죠. 아무튼 누구라도 많이 찾아주고, 또 가끔이지만, 댓글이나 방명록을 써 주시면 운영자 입장에서는 즐거운 일입니다. 인사는 이만 마치고 본문으로 들어갑니다.2020년 9월에 올린 '조선시대 팔도 감영 및 한성부의 편액 이야기' 글(새창 열기 링크)에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등 조선시대 팔도(八道) 감영..

역사/관아 2024. 10. 20. 22:17 댓글
이전 1 2 3 4 ··· 17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안내] 관아 및 군사 분야 글 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사이버 조선왕조
  • nasica (나시카의 뜻은?)
  •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
  • 팬더 아빠의 전쟁사 이야기
  • 오로라의 군사·전쟁사
  • 미육군 편성 및 개편
  • mungia 밀리터리
  • 프라모델과 밀리터리
  • Board & HISTORY
  • 전차맨의 취미 모형
  • 금수님의 역사 그림들
  • 무운정(霧韻亭)
  • 임진왜란 사료연구소
  • 게렉터블로그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외계인 마틴
  • 대한민국 문화재청
TAG
  • 동헌
  • 세종대로
  • 경기감영
  • 한성부
  • 육군
  • 인민일보
  • 호조
  • 관아
  • 아정
  • 노무현
  • ROKA
  • 대한제국
  • 돈화문
  • 임진왜란
  • 동래도호부
  • 육조거리
  • 삼척도호부
  • 조선시대
  • 사이버 조선왕조
  • 객사
  • 선화당
  • 창덕궁
  • 조선왕조
  • 손카
  • 도필리
more
«   2025/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도필리의 블로그 아정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