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조선시대 중앙 관청 중 하나인 중추부(中樞府)의 청사 전경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사진 가운데 하나이며, 표제는 '授産場 朝鮮人 住宅(수산장 조선인 주택)'입니다. 중추부는 현재 세종대로(世宗大路), 옛날 육조거리[六曹街] 서편에 있었습니다. 한성부(漢城府) 서부(西部) 적선방(積善坊)이며, 현재 지번 주소로는 세종로 77-6번지 정부서울청사 남쪽 지역입니다. 사진에서 가장 번듯하게 보이는 건물은 중추부 당상대청(堂上大廳)입니다. 당상대청은 중앙 각 관청에서 정3품 당상관 이상 고급 관원이 근무하는 공간(대청)입니다. 원래 기둥만 있어야 할 외측에 흰색 벽체가 세워지고 유리 창호가 설치된 행태로 한옥 건물이 개조된 상태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추부..
※ 지난해 11월에 올렸던 동일한 제목의 1편, 그리고 지난 2월에 올린 2편에 이어지는 호조 관아 건물 배치에 관한 마지막 글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의 시기가 요원한 때입니다. 여기에 이런저런 일이 더해져서 본편의 편집이 더 늦어졌습니다. 기다려 주신 분이 계신다면, 그저 감사드릴 뿐입니다. ※ 같은 제목의 글 2편(링크)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위 17번 이미지의 A 평면도는 1편과 2편 글에서 다뤘던 내용에 기반하여 추정한 조선시대 후기의 호조(戶曹) 청사 건물 배치도이다. 호조와 같이 육조거리(세종대로) 동쪽 편에 있었던 이조(吏曹), 한성부(漢城府), 농상공부(農商工部)의 대청(大廳) 건물이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육조거리 방향, 즉 서쪽 9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호조 청사..
※ 1편 글을 올린 지 3개월여 시간이 지났습니다. 12월 말부터 한 달 가량은 평소처럼 움직이기 힘들었고, 그 이후로도 글 작성을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이렇게 2월 마지막 날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시절입니다. 이 시기를 잘 이겨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본 문서에 첨부하는 이미지 파일들의 최초 생성 날짜를 살펴보니 2018년 7월이었습니다. 글을 써나가는 동시에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략 머릿속으로 어떻게 써야겠다고 생각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먼저 제작하는 방식을 취하다 보니, 그 당시에 '이런 내용을 설명하려면 여기에 화살표를 넣고 이런 표시를 하고..' 했던 이유가 기억나지 않을 지경이 되었네요. 1년 반이 지났으니 그럴 만도 하지요. 그 때문에 글 쓰는 방식과 절차를 조금은 ..
2016년에 광화문 육조거리(세종대로) 동쪽 상단에 있었던 의정부(議政府) 청사의 배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다. 아래 사진은 그해 3월 초에 확인한 것으로, 의정부 본청의 건물인 정본당(政本堂) 사진이다. 출전은 콘스탄스 제인 도로시 테일러(Constance Jane Dorothy Tayler)의 1904년 간행 저작물 『Koreans at home; the impressions of a Scotswoman』. 2016년 8월경 의정부 터 발굴 착수에 관한 기사가 쏟아질 때 기사에 등장했던 자료이기에 의정부 청사에 관심을 가진 사림이라면 이미 익숙한 사진이다. 『Koreans at home』의 16면에 'WAR OFFICE, SEOUL'이라고 실려 있지만, 군권을 담당하던 군부(軍部), 병조(兵曹..
※ 본 글은 작년 7월에 올린 '세종로 광화문 앞길 육조거리 의정부 및 육조 관청 배치도' 문서를 보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앞으로 올리게 될(?) 육조거리 소재 주요 관청에 대한 개별 분석을 예정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일신상의 이유로, 이번 2월에는 이렇게 간략한 글을 올려봅니다.) 위 이미지는 1908년(융희2) 무렵 광화문 앞 육조거리에 있었던 여러 관청의 건물 배치도를 담고 있는 〈광화문외제관아실측평면도(光化門外諸官衙實測平面圖)〉이다. 1907년부터 1910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 제작 시기를 넓게 추정하기도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됨) 현재의 광화문 앞 세종대로(세종로)는 조선시대에 육조거리[六曹街]라고 불렸을 정도로 조선왕조의 주요 관청 건물들이 들어서 있었다. 이조(吏曹), 호..
지난 7월에 올린 '조선시대 공조 청사...' 제목의 글에서 조선왕조 공조(工曹) 당상대청(堂上大廳) - 대한제국 통신원(通信院) 청사의 촬영 사진을 살펴보았다. 당상대청은 말 그대로 공조의 당상관(堂上官, 국사를 논하는 정당 위에 올라 앉을 수 있는 고위 관료)인 판서(判書, 정2품, 오늘날의 장관), 참판(參判, 종2품, 차관), 참의(參議, 정3품 당상, 차관보) 관원이 근무하는, 대청(大廳, 큰 마루)을 갖춘 건물이다. 비록 건물 전면부의 대청과 주춧돌 및 기둥 부분이 대한제국 시기에 유리창호를 갖춘 벽면 형태로 개조되면서 외형이 많이 변하기는 했지만, 조선시대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6개 청사의 중심 건물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정면에서 촬영된 사진 자료였다. 공조 당상대청 사진..
현재까지 확인 가능한 자료를 토대로 경복궁 광화문 앞길, 즉 세종로(世宗路, 세종대로, 광화문로)에 위치했던 조선왕조-대한제국 시기의 관청 건물 배치도를 만들어 보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됨) 각 관청별 구역 및 건물의 위치 오차는 수 미터 이내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조선시대에는 이 길(세종로)을 육조거리[六曹街], 육조전로(六曹前路), 광화문전로(光化門前路, 광화문 앞길) 등의 명칭으로 불렀다. 이조(吏曹), 호조(戶曹), 예조(禮曹), 병조(兵曹), 형조(刑曹), 공조(工曹) 등 6개[六曹] 관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청사 배치도를 만들 때 참고한 주요 자료는 아래와 같다. 1) 광화문외제관아실측평면도(光化門外諸官衙實測平面圖), 1908년경 2) 경성광화문통관유지일람도(京城光化門通官有地一覽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