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홍천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제20기갑여단(第二十機甲旅團)은 조금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군(國軍) 창설 초기에 편성된 연대급 부대로서 한국전쟁 이후 오래도록 제1야전군 직할 제11사단(화랑부대)의 예하 '보병연대'로 기능하다가 전차와 장갑차로 편제된 '기계화여단'을 거쳐 현재는 제3군단 직할 '기갑여단'이 되어 있는 것이죠. 부대 상징명칭(독수리부대)과 번호(20)는 그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제20보병연대는 전라남도 광주(光州) 지역의 향토 연대로 창설되었습니다. 남조선국방경비대 제4연대 창설 이후의 부대 연혁 연혁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1946년 2월 15일, 전라남도 광산군 극락면 쌍촌리의 해군 예과련 병영에서 제4연대 A중대 창설 (국방경비대 제4연대)1946년 4월..
지난 세 편의 글에서 전차대대, 소대 및 분대, 중대 및 대대 편성에 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대대의 상급 부대인 연대, 여단, 사단 등의 편성 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위 그림은 육군 보병부대 편성의 기본 체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급 제대(단위부대) 3개가 모여서 상급 제대 1개를 구성하며, 여기에 직할부대 몇 개가 부속되는 형태입니다.파란색 네모는 각 부대를 이루는 주요 3개 하급 부대입니다. 그리고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는 (동급의 하급) 부대 1개가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소대(小隊)에는 화기분대, 중대(中隊)에는 화기소대, 대대(大隊)에는 중화기중대가 있습니다. 중화기의 '중'은 한자로 중(重, Heavy)입니다. 연대(聯隊)에는 연대 직할의 전투..
상편 '보병부대의 소총소대 및 분대 이야기 (링크)'에 이어 이번 하편에서는 중대, 대대 편성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위 5번 그림의 편성표는 육군 보병부대의 소총중대(小銃中隊, Rifle Company) 편성 사례입니다. 병과 명칭을 붙여서 보병중대(步兵中隊, Infantry Company)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위 편성표는 화기소대(火器小隊, Weapons Platoon) 없이 중대본부(中隊本部, Company Headquarters)와 3개 소총소대(小銃小隊, Rifle Platoon)로 이루어진 1개 중대(中隊) 편성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총소대는 상편의 4번 그림에서 확인한 편성을 그대로 적용하였습니다.만일 중대에 화기소대가 있더라도 실제 공격 또는 방어 작전시에는 화기소대가 장비한 6..
최근 몇 년 동안은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기의 관아(官衙, 관청) 건물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올리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본 블로그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은 글은 작년 2021년 1월에 올렸던 '대한민국 육군 및 북한군 전차대대 편제'입니다. 많은 분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주제인 군사 분야에 관한 글을 한 번 더 올려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보병부대의 소대, 분대 편성에 관한 내용입니다. ※ 본 글은 대한민국 국군 부대의 편성 또는 편제를 정확하게 정리하거나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즉, 군부대의 기본적인 편성 제도(시스템)를 가볍게 설명하는 글입니다. 항상 군사보안에 유의합니다. 위 1번 그림의 편성표는 육군 보병부대의 소총분대 편성 사례입니다. 소총분대를 보병분대라고도 하는데, 보병(步兵, Infant..
※ 한국군의 K2 흑표 전차와 북한군의 T-62 전차의 실루엣(윤곽선) 이미지를 재미 삼아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내친김에 그 이미지를 활용하여 전차대대 편성표를 만들어 봤네요. 정확한 고증을 거쳐 만든 것이 아니기에, 특정한 시점의 특정한 부대 편성표(편제표)를 완벽하게 보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국군 부대 편성은 군사보안상의 이유 때문에 만약 알고 있다고 해도 그대로 기재하기 어렵습니다. 참고 차원에서 가볍게 읽어주세요.) 위 이미지는 대한민국 육군[각주:1] 전차대대의 전차 편성표, 즉 전차 보유 편제의 한 사례입니다. 우리(민간인?)는 탱크(Tank)를 탱크라고 하지만, 군(軍)에서는 전차(戰車)라고 표기하고 호칭합니다. 그리고 전차로 이루어진 부대를 기갑부대, 전차와 장갑차로 구성된 부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