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작문/잡기

아정기(雅亭記)

도필리 2022. 9. 1. 19:32

도필리의 아정(雅亭) 편액
아정(雅亭) 편액



정해년 3월 23일에 새 정자[亭]를 낙성하였으니, 이름하여 '아정(雅亭)'이다. 본래 암파소(岩破所, empas)에 운암(李雲) 이공[李公德武]의 생전 거처가 있었는데, 이 역시 '아정'이라 불렀다. 그러나 세 칸[三間] 초가(草家)의 모습을 띄고 있었으므로, 오늘날 정자를 지어 낙성한 것을 두고 '이건(移建)'이라 하지 않는다.

갑신년 9월 초6일에 운암 이공이 졸(卒)하자 공의 백씨(伯氏)인 경재(景齋) 이공[李公德文]이 초가를 맡아 머물렀고, 을유년 7월 28일에 나 하은(河銀)에게 물려주었다. 그러나 초가 주위가 암석으로 둘러싸여 있어 지세가 험하고 터가 협소하기 때문에 장구한 계책을 펼 곳이 되지 못하기에 새로운 곳에 터를 잡아 정자를 짓게 되었다. 그리하여 길지(吉地)를 구한 끝에 면남방담(綿南方談, tistory)의 한 켠에 지반을 다진 후, 여러 날에 걸친 공사를 진행하여 곧 십자형(十字形) 정자를 완공하였다.

'아정'은 아담한 정자라는 뜻이다. '아정'은 정묘(正廟) 연간에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을 지낸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호(號) 가운데 하나인데, 이 호는 '성시전도(城市全圖)'에 대해 공이 지은 백운시(百韻詩)를 정조(正祖) 임금께서 친히 평하시며 내린 글자 '아(雅)'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아정(李雅亭)과 이운암(李雲巖)의 한글 이름이 동일한 것을 보면, 운암 이공이 당신의 초가를 '아정'이라 한 뜻에 짐작되는 바가 없지 않다. 또 아정 이덕무가 남산(南山) 아래에 살았었는데, 지금 면남방담에 정자를 짓게 되니 '남(南)' 자가 걸린다. 이 또한 거듭 우연에서 비롯된 것으로만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아담(雅淡)'은 고상하고 담백하다는 뜻이다. 조졸하고 산뜻하다거나 말쑥하고 담담하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나 고상하기는 하되 고지식해서는 안 되며, 담백하기는 하되 세상사에 완전히 담담해서도 안 된다. 자호(自號)를 짓든, 당호(堂號)를 받든, 기문(記文)를 청하든, 제목이나 글자가 좋은 것에만 만족한 채 조금도 실천하는 모습이 없다면 모두 부질없는 것이다. 무릇 '이름에 걸 맞는 실상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니, 이를 기억하기 위해 기문(記文)을 지어 남긴다.

정해(丁亥, 2007년)
4월 26일, 선성(宣城) 김하은(金河銀)



발(跋). 공지에서 내리려 하였으나 삭제만 가능하여 부득불 다시 올린다. 임인(壬寅, 2022년) 추구월(秋九月) 초일일(初一日).


반응형
아정에 음료 한 잔 블로그 주인장에게 음료 한 잔 후원하기 : 토스로 익명 선물 (클릭)    토스로 익명 선물하기
#태그
,
댓글
댓글쓰기 폼
공지사항
Total
195,858
Today
72
Yesterday
186
«   2023/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