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블로그에 관아(官衙, 관청) 건축에 관한 글을 올리기 시작한 이후 가장 당황스러운 감정을 느꼈던 일이 지난 10월 하순에 있었습니다. 2022년 10월 20일에 경상북도 영천시(永川市) 시청 대회의실에서 영천읍성(永川邑城) 남문(南門) 복원과 관련한 발표회가 진행되었는데, "내가 지금 동일한 사진 자료를 보고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어이없는 결론을 도출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12월 16일에 일제강점기 영천 남문, 군청, 경찰서, 전경 등을 담은 회엽서(繪葉書, 사진엽서) 사진 자료의 웹 페이지 주소를 영천OO박물관(1921년 영천 사진엽서 공개 기관), 경북OO재단 문화재연구원(2018년 영천읍성 정비 관련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발행 기관), 영천시의원(제8대 시의회 '영천읍성 복원 연구모임' 소속) 2명 등에게 처음 제보했던 사람 입장에서 실로 당혹스러운 시간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영천군 동헌(東軒) 건물 배치에 관한 글을 천천히 준비 중이었기에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나 올릴까 하고 있었지만, 영천읍성 남문 추정에 관한 보도와 영상을 본 후에 이를 바로잡을 틈이 부족할 것 같은 마음에 급히 작성해서 올리는 관계로, 기존 글처럼 텍스트 위주가 아닌 몇 장의 이미지를 간략하게 설명하는 형태가 되었습니다. 시작합니다.

영천읍성 남문 복원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 발표 자료 (2022.10.20)
1번 자료 - 영천읍성 남문 기본계획 최종보고회 발표 (2022년 10월 20일, 영천시)


위 1번 자료 사진은 2022년 10월 20일에 진행된 '영천읍성 남문 복원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 당시의 발표 자료 중 일부를 게재한 것입니다. [18분 39초 분량의 보고회 동영상 링크 : 경북TV - 연구 최종보고회 현장 영상]

상단 사진은 영천읍 전경을 담은 일제강점기 당시 회엽서(사진엽서) 사진이고, 하단 이미지는 당시 지적원도(지적도)에 보고회 연구수행 및 발표 기관인 대구광역시 소재 문화OO연구원에서 추정한 남문 위치를 표기한 것입니다.

이 남문 추정 위치가 얼마나 황당한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상북도 영천군 지적원도 (1912년 영천시 지적도)
2번 그림 - 1912년 경상북도 영천군 지적원도


위 2번 그림은 1912년 측량된 경상북도 영천군(永川郡) 읍내(邑內) 지역의 지적원도입니다. 1번 자료 하단에 등장한 지적원도와 기본적으로 같은데, 더 넓은 지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초록색 화살표 지점 : 남문 복원 기본계획 최종보고회에서 추정한 남문 위치 (영천시 성내동 75-1번지 일원)
2) 빨간색 화살표 지점 : 필자 추정 남문 위치 (영천시 과전동 123-5번지 인근)

초록색 화살표 아래쪽에 있는 보라색 사각형 지점은 2002년 논문 「경상북도 영천읍성의 공간구조와 그 변화」에서 추정한 남문 위치(과전동 32번지 일대)이고, 빨간색 화살표 아래쪽에 있는 파란색 십자 표시 지점은 2018년 발행된 「영천읍성 정비·복원을 위한 정밀지표조사 보고서」에서 추정한 남문 위치입니다. 영천읍성을 다룬 관련 논문 다수는 후자를 남문 위치로 비정(比定)하였으나 최종보고회 기관에서는 전자를 참고하여 남문 위치를 추정하였습니다.

보고회 지도에서는 성내동 75-1번지 근처에 남문 위치를 표시하였지만(1번 자료), 정작 보고회 후반의 유구 시굴 및 발굴조사를 위한 토지매입 설명 부분에서는 보라색 사각형의 과전동 32-1번지 주변을 남문 위치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보고회 앞쪽 자료에서 지도상 표기에 미흡했던 것이겠지요. 호연정(浩然亭) 위치도 엉뚱한 곳이었던 것을 보면 말입니다.


지적도에 표기된 주요 건물 가운데 객사 영양관(永陽館)과 조양각(朝陽閣) 위치에 주의합니다.

기타 건물 표기 가운데 빨간색은 조선시대 기준이고 보라색은 대한제국 또는 일제강점기 시절 기준이며, 각 건물 또는 공간의 위치는 필자 추정입니다. 지도 오른쪽 상단의 노란색 화살표 지점은 필자 추정 동문(東門) 위치입니다(확률 높지 않음).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읍성(永川邑城) 남문(南門)
3번 사진 - 경상도 영천군 영천읍성 남문(南門) 사진엽서


위 3번 사진은 남문 복원에 결정적 역할을 할 사진엽서 이미지입니다. 2021년 12월에 제보했던 7장 사진 자료 가운데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각 화살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빨간색 화살표 : 영천군 객사 영양관 정전(正殿) 일부와 서익헌(西翼軒)
2) 파란색 화살표 : 남문 도로 형태 추정
3) 노란색 화살표 : 남문 규모 추정에 도움 되는 인력거(?)

이 사진 하나만 봐도 남문 위치가 어디인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남문 사이로 멀리 객사(客舍, 객관) 건물 일부가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2번 지적원도에 있는 객사 위치를 참고하면 누가 봐도 10월 20일 보고회에서 추정한 남문 위치가 아무런 근거 없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남문 안쪽에 보이는 이 건물이 객사가 아니라고 생각 또는 주장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에 글을 이어 나갑니다.


참고로, 영천읍성 남문은 1910년대 중후반에 도로 정비 과정에서 철거된 것으로 판단합니다. 1916년 발행 책자의 수록 사진에서 남문 존재가 확인되기 때문입니다. 2층 문루의 누마루 난간 계자각(鷄子脚, 난간 기둥)이 영천향교 정문인 유래루(牖來樓)와 비슷한 형태인 점도 눈에 띄는 부분입니다. 같은 지역에 설치된 문루였기 때문에 동일한 건축 양식을 취한 때문으로 보입니다. 문미(門楣), 즉 문루 중앙에 걸린 편액에 새겨진 글자는 '영양남루(永陽南樓)'였는데, 사진 오른쪽 상단의 편액 이미지는 각종 편집기의 힘을 빌려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만들어본 것입니다. '陽' 글자의 日 부분이 어색합니다. 솜씨가 변변치 못해서 그런 것이겠지요.

경상북도 영천군 영천읍(永川邑) 전경(全景)
4번 사진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읍 전경


위 4번 사진 역시 3번 사진과 함께 제보된 사진입니다. 그러나 이 사진은 보고회 발표 당시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제보했던 7장(6장 일괄+1장)의 사진 가운데 남문과 관련된 것이 3장(남문, 영천전경, 읍내전경)인데, 2장(남문, 읍내전경)만 보고회 자료로 사용되었던 것을 보면 제보한 이미지 전체가 공유된 것이 아닐 수 있겠다는 느낌입니다.

사진 오른쪽에 있는 조양각의 건물 지붕(기와) 너비를 기준으로 조양각과 남문 사이의 거리를 대비하면 약 8.7배 차이가 납니다. 사진 촬영 각도, 거리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기에 실제와 약간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참작해야 하지만, 남문의 대략적인 위치를 추정하기에는 충분합니다. 조양각 지붕 가로 폭이 약 20미터이므로 위 사진에 따르면 조양각에서 남문까지는 약 154미터(20x8.7-20=154) 거리인데, 실제 지도상 거리는 약 120미터입니다. 34m 차이는 촬영 구도에 따른 오차로 간주합니다.

반면, 보고회에서 추정한 1번 자료의 위치(과전동 32번지)까지는 약 310미터입니다. 사진에서 볼 때 조양각 지붕 너비와 15배 이상 차이를 보여야 하므로, 최종보고회 비정 위치는 절대 남문 소재지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영천읍 전경 사진에서도 남문 뒤쪽으로 객사 건물이 보입니다. 남문 바로 앞에서 3번 사진을 촬영한 각도로 사진을 찍는다면 남문 사이로 객사가 보일 위치입니다. 객사 왼쪽 건물은 도소(都所), 관청(官廳), 군사(郡司) 등의 건물군인데, 도소는 향청(鄕廳) 부속 건물을 의미하고 관청은 관리에게 식사를 공급하는 시설, 군사는 각 고을에 설치되었던 읍사(邑司)입니다. 읍사는 상층 향리(鄕吏)인 호장(戶長)이 일을 보던 공간으로, 고을 등급에 따라 주사(州司), 부사(府司), 군사, 현사(縣司)라고 했습니다. 영천은 조선시대에 영천군이었으므로 군사였습니다.

2번 지적원도에서 '촬영 위치'라고 표기한 것은 이 사진의 촬영 장소를 추정한 것입니다.

설령 이 사진이 연구기관에 제공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다음에 게재하는 5번 사진과 보고회 자료에서 언급된 '영천군외1부(府)3군(郡)연합중요물산품평회' 또는 '영천 목교(木橋)' 사진을 중첩 합성하면 위 4번 사진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영천군 읍내(邑內) 전경
5번 사진 - 경상북도 영천군 읍내 전경


위 5번 사진은 영천군 읍내 전경의 일부를 담은 사진입니다. 즉, 1번 자료의 상단 사진입니다. 제보 7장 사진 가운데 하나이며, 촬영 시기와 위치에 차이가 있지만 4번 사진에서 남문 주변을 확대 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남문 뒤로 오른쪽에 객사 정문과 정전, 서익헌, 동익헌, 공수(公須, 객사 공수청)가 보이고 왼쪽에 군사 본청과 좌우 행랑채, 군사 너머에 도소, 도소 왼편에 멀리 영천향교 정문인 유래루와 강학 공간인 명륜당(明倫堂)까지 담겨 있습니다. 객사 건물이 명확하게 보이는 이 사진을 보고도 어떻게(!!) 1번 자료 위치에 남문이 있었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하는 탄식이 저절로 나옵니다. 이런 사진이 전혀 없이 문헌 기록에만 의지한 위치 추정이라면 혹여 이해라도 하겠지만요. 더군다나 이 사진의 존재를 처음 공개적으로 보도한 2022년 4월 11일 기사에도 '남문 너머에 객사 건물이 보인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사진엽서와 영천경찰서 엽서를 영천OO박물관에서 확보했다고 하는데, 아직 최초 제보한 링크에 실려 있던 이미지 품질을 넘는 사진이 공개되지 않고 있기에 실제 원본을 입수한 것인지, 만일 가지고 있다면 연구기관에 제공하지 않은 것인지 의문이 있습니다. 웹에 올려진 낮은 해상도의 제보 이미지만으로도 객사, 군사, 도소, 향교 등이 파악되는데, 그보다 훨씬 고품질의 스캔 또는 촬영 사진이라면 이런 것을 모를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영천읍성 남문(南門) 위치 비정
6번 그림 - 경상도 영천군 영천읍성 남문 위치 비정


남문이 현재 영천교(永川橋) 북단의 천문로(天文路) 선상에 있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그 도로 축선 위의 어느 지점에 실제하고 있었느냐 하는 것입니다. 기존 여러 논문에서는 영천읍성의 남쪽 성벽이 조양각 근처의 절벽과 이어져 금호강(琴湖江, 南川) 가까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고 2번 지적원도의 파란색 십자가 위치(위 6번 그림 오른쪽 아래 항공사진에서 글자 '천문로'의 '로' 근처)에 있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남문 위치를 비정할 중요 단서는 3번 사진에서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한 남문 주변 도로 형태입니다. 그 형태를 당시 지적원도와 비교하면 남문의 정확한 위치가 나옵니다. 남문 사이로 보이는 길의 모습도 지적원도 필지 형태와 일치합니다.

사진에서 지적원도의 도로 폭(약 11.3m 내외)과 도로를 덮고 있는 남문 기와지붕의 면적을 고려하면 구한말 영천읍성 남문의 대략적인 규모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지적도와 항공사진에 겹친 남문 지붕 이미지는 동일한 축적으로 조정된, 영천 남문과 비슷한 수키와[圓瓦] 수를 가진 충남 서산(瑞山) 관아 문루입니다.

필자 추정 남문 위치는 현재 지번 주소로 영천시 과전동 123-6번지 및 123-5번지와 창구동 17-22번지 및 17-21번지 사이의 천문로 도로상 필지입니다.

영천읍성 남문 회엽서
7번 사진 - 영천읍성 남문 규모 추정 참고 자료


위 7번 사진은 영천읍성 남문의 추정 규모를 설명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아래 표에 보고회에서 추정한 규모와 필차 추정 규모 3개를 수록하였습니다.

구분 최종
보고회
필자 추정 비고
추정1 추정2 추정3
2.35m 2.53m 2.80m 2.90m 지붕 높이
2.55m 2.69m 2.98m 3.09m 2층 높이
- 3.80m 4.40m 4.56m 1층 (기둥)
- 0.43m 0.47m 0.50m 추춧돌(서쪽)
4.90m 5.22m 5.78m 5.99m ⓐ+ⓑ
4.00m 4.23m 4.87m 5.06m ⓒ+ⓓ
8.90m 9.45m 10.65m 11.05m ⓔ+ⓕ
2.10m 2.04m 2.26m 2.34m 서쪽 기둥 간격
3.72m 3.60m 4.00m 4.14m 중앙 기둥 간격
2.10m 1.99m 2.21m 2.29m 동쪽 기둥 간격
7.92m 7.63m 8.47m 8.77m 전체 너비
- 11.56m 12.80m 13.20m 지붕 너비
- 127cm
(8~9세)
141cm
(10~11세)
146cm
(12~13세)
아이 키
- 150cm 166cm 172cm 어른 키
기준 - 인력거 너비
1.2m
인력거 너비
1.34m
지붕 너비
13.2m
 


3번 사진에서 노란색 화살표로 표시한 인력거(?)의 양 바퀴 폭을 120cm와 134cm로 추정한 것을 기준으로 추정1, 추정2를 만들었고 지붕 너비 13.2미터를 기준으로 추정3을 추가하였습니다. 인력거 반대쪽의 동쪽 기둥 앞에 달구지가 보이는데 달구지 바퀴 사이 간격에 대한 자료가 일정하지 않아서 제외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종보고회에서는 문루 기둥 앞뒤 간격도 추정하였는데, 위 표에서는 생략하였습니다.

원근감을 감안하더라도 동쪽 두 기둥 사이 간격이 서쪽 기둥 간격보다는 약간 좁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주춧돌 높이는 서쪽(사진 왼쪽) 기준입니다. 지반이 약간 기울어 있던 탓인지 동쪽(사진 오른쪽)으로 갈수록 주춧돌 높이가 낮아집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필자 추정 중에서) 추정2가 실제에 근접할 것 같습니다. 남문의 지붕 너비가 12.5미터 내외일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가 지나는 도로(천문로) 한복판이 남문 추정지라서 발굴조사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쩌면 주춧돌(초석) 또는 그 아래 적심석(積心石) 흔적이 아직 남아 있을 수 있겠다 싶기도 합니다. 그러면 정확한 기둥 사이 간격을 비롯한 전체적인 건물 규모가 밝혀지겠지요.


이상으로 남문 위치 비정에 관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최종보고회 언론 보도와 발표 영상을 보면서, 그리고 그동안 진행되었던 강릉 동헌, 삼척 진주관 등의 복원 사업 내용을 생각하니, 이런 식으로 고증 및 복원 사업이 진행되기에 그토록 엉성한 관아건축 복원 결과물이 많은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남문 복원 보고회 영상을 보고 난 직후에 들었던 생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제보했던 사진 중 활용 가능한 3장 가운데 2장만 화면에 나온 것을 보면 자료가 충분히 공유된 것인지 하는 의문
2) 단 2장만 제공되었다고 하더라도, 자체 확보한 다른 자료 없이 그것만 가지고 남문 위치를 추정했는가 하는 안타까움
3) 그 사진을 가지고 어떻게 그 위치에 남문이 있었다고 비정하고 보고회를 두 차례 진행하는가에 대한 어이없음

앞서 9월 14일에 중간보고회를 가진 후, 한 달 동안 나름대로 보완을 거쳐 최종보고회가 진행되었던 것인데 그 과정에서 남문 위치에 대한 보정이 없었던 것을 보면 중간보고회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 영천 남문에 관해 심도 있는 고민을 해 본 전문가나 향토 사학자가 한 명도 없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그리고 각종 언론보도 내용을 살펴보면 최종보고회 직후에 열린 질의응답 시간에도 따로 이의 제기나 반론이 있었을 것 같지 않습니다.

보고회 이후 별도로 진행될 의견 수렴 단계에서, 혹은 학술대회, 심화학술용역, 정밀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에서 전통건축 내지 역사건축 전문가들에 의해 남문 위치에 대한 교정이 이뤄지면 다행이겠지만, 현재 추론된 위치에 대한 부지 매입, 시굴 및 발굴조사 등의 절차가 선행될까 걱정 아닌 걱정을 하게 됩니다.

지난해 연말에 영천 관련 사진을 제보하지 않고 차라리 그냥 블로그에 글을 올렸더라면 이런 황당한 일은 없었겠다 싶기도 합니다. 전액 지급되었는지 알기 어렵지만, 계약금액 기준으로 1,980만 원이라는 영천시 집행 용역 비용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순간입니다. 해당 업계에서 볼 때 복원 사업 관점에서 큰 액수가 아닐 것 같기는 하지만요. 그래서 이런 결과물이 나온 것 같기도 하고...


※ 경상북도 영천군(영천시) 관아 건축에 관한 글 제2편 : 영천군 동헌 및 객사 이야기 (링크)

음료 한 잔 후원 블로그 주인장(글 작성자)에게 음료 한 잔 후원하기 : 토스로 익명 선물 (클릭)    토스로 익명 선물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