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몇 자 적어봅니다.이달 12월 3일에 있었던 비상계엄, 즉 내란 사태와 관련하여 속속 밝혀지고 있는 소식을 접하고 보니 현재 군(軍) 상층부가 '개판 5분 전'이 아닌, 그야말로 '개판' 그 자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평상시 군령권(軍令權, 전투부대 작전지휘권)은 합동참모본부 의장인 합참의장에게, 육군 조직에 대한 군정권(軍政權, 육군부대 행정권 및 비전투부대 지휘권)은 육군참모에게 주어져 있고, 계엄 선포시 계엄 지역 내에서의 행정, 사법 등에 관한 사무 및 통제 권한이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에게 있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지휘 계선 및 통제 체계(지휘시스템)가 완벽하게 무시된 상태에서 각급 부대가 동원된 것이 이번 사태에 있어 군사상의 문제점 내지 의문점입니다.야..
오랜만에 돌아온 군사 카테고리 글입니다. 군사 계급(호칭)에 관한 분야로 한정하면, 그동안 2편의 글을 통해 육군 계급 체계(새창열기 링크) 및 계급 제도 변천 역사(새창열기 링크)에 관해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이번 제3편은 육군 병사, 즉 병(兵) 계급의 복무기간 및 진급시기 변동 내역을 이미지 2장으로 정리한 후,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 글입니다.1945년 해방 후 1946년 1월부터 본격 시작된 국방경비대 창설을 시작으로 한 건군기(建軍期, 창군기)의 병사 계급은 일등병사, 이등병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946년 12월 1일자로 계급제도를 정비하여 병 계급을 하사(下士), 일등병(一等兵, 일병), 이등병(二等兵, 이병) 체제로 개편합니다. 그리고 전편 글에서 살펴봤던 것처럼, 1957년 1월..
지난 8월에 올린 글에서 육군 계급 체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문서 새창열기 링크). 간혹 '일등상사', '이등중사' 등의 검색어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이번에는 건군 이후 대한민국 육군의 계급 제도 변동 내역에 관해 역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지난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적색 바탕은 장성(將星, 장군), 보라색은 영관(領官), 파란색은 위관(尉官), 노란색은 준사관(準士官), 녹색은 부사관(副士官, 하사관), 갈색은 병급(兵級)입니다.1945년 8월 15일 해방 다음 해인 1946년 1월 15일에 남조선국방경비대 제1연대가 정식 창설하였으며, 이때 계급 명칭이 마련됩니다.영관 : 정령(正領), 부령(副領), 참령(參領)위관 : 정위(正尉), 부위(副尉), 참위(參尉)하사관 : 대..
그간 몇 편 올린 '군사' 카테고리 글을 통해 보병, 기갑(전차), 포병 등의 각급 부대 편성에 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은 그러한 군부대를 지휘하고 운영하는 주요 구성원의 계급 체계에 관한 내용입니다.위 이미지는 대한민국 육군 기준 계급 명칭과 계급장, 그리고 각 계급별 군대 주요 직책을 정리 및 기재한 것입니다.전체 20단계로 구성된 군대 계급은 크게 장성급(將星級), 영관급(領官級), 위관급(尉官級), 준사관(準士官), 부사관(副士官), 병(兵) 등으로 구분됩니다. 장성급은 2017년 3월 21일 〈군인사법〉 개정 이전에는 장관(將官)으로 되어 있었으나 한글로 표기할 때 국무위원인 장관(長官)과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장성(將星)으로 수정되었습니다. 병급의 상병(上兵)은 상등병(上等兵, C..
지난 몇 편의 '군사' 카테고리 글을 통해 육군 보병부대의 분대, 소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등 편성에 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보병(步兵) 및 기갑(機甲, 기계화부대)과 함께 현대 지상군을 구성하는 대표적이고 전통적인 병과(兵科) 부대인 '포병(砲兵)' 편성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위 편성표는 포병부대, 즉 야전포병(野戰砲兵, Field Artillery)의 중대급 소부대인 포대(砲隊, Battery) 편성 사례입니다.일반 보병, 기갑, 수색, 공병 등의 부대와 달리 '포대'라는 특별한 명칭으로 불리며, 편성 또는 일반적인 부대와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보병중대(소총중대), 공병중대, 통신중대와 같은 방식으로 병과+부대단위 형식으로 이름을 붙여 포병중대(砲兵中隊, Arti..
강원도 홍천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제20기갑여단(第二十機甲旅團)은 조금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군(國軍) 창설 초기에 편성된 연대급 부대로서 한국전쟁 이후 오래도록 제1야전군 직할 제11사단(화랑부대)의 예하 '보병연대'로 기능하다가 전차와 장갑차로 편제된 '기계화여단'을 거쳐 현재는 제3군단 직할 '기갑여단'이 되어 있는 것이죠. 부대 상징명칭(독수리부대)과 번호(20)는 그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제20보병연대는 전라남도 광주(光州) 지역의 향토 연대로 창설되었습니다. 남조선국방경비대 제4연대 창설 이후의 부대 연혁 연혁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1946년 2월 15일, 전라남도 광산군 극락면 쌍촌리의 해군 예과련 병영에서 제4연대 A중대 창설 (국방경비대 제4연대)1946년 4월..
지난 세 편의 글에서 전차대대, 소대 및 분대, 중대 및 대대 편성에 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대대의 상급 부대인 연대, 여단, 사단 등의 편성 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위 그림은 육군 보병부대 편성의 기본 체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급 제대(단위부대) 3개가 모여서 상급 제대 1개를 구성하며, 여기에 직할부대 몇 개가 부속되는 형태입니다.파란색 네모는 각 부대를 이루는 주요 3개 하급 부대입니다. 그리고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는 (동급의 하급) 부대 1개가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소대(小隊)에는 화기분대, 중대(中隊)에는 화기소대, 대대(大隊)에는 중화기중대가 있습니다. 중화기의 '중'은 한자로 중(重, Heavy)입니다. 연대(聯隊)에는 연대 직할의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