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몇 년 사이에 각 지역에서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가 근무하던 관청인 감영(監營) 시설을 복원하거나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해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전주(全州)의 전라감영이 얼마 전에 복원되었고, 공주(公州)와 원주(原州)에서 충청감영과 강원감영 구역에 대한 정비를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조선 전기에 경상감영이 있던 상주(尙州)는 감영 건물을 복원해 공원을 조정하는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지방에서 가장 격이 높았던 관아 건물(랜드마크)을 내세워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높이거나 자치단체장이 스스로 치적을 쌓기 위한 목적일 것입니다. 물론 가장 큰 목표는 관광객 유치겠죠. 이번 글은 이러한 감영 건물에 걸려 있었던 편액(현판) 글씨에 대한 이야기입..
+ 본 관청 청사 배치도는 조선시대 고지도, 읍지, 관련 논문, 전문 서적, 언론 보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제작함. + 각 감영(監營, 관아)의 상세 배치도는 아래에 링크한 사이버 조선왕조(http://www.1392.org) 각 지역별 관청(감영)의 안내 메뉴에서 확인 가능. * 사조 - 한성부 홈페이지 : http://www.1392.org/hsb (경조 안내 메뉴 클릭) * 사조 - 경기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ggd (기영 안내 메뉴 클릭) * 사조 - 충청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ccd (금영 안내 메뉴 클릭) * 사조 - 경상감영 홈페이지 : http://www.1392.org/gsd (영영 안내 메뉴 클릭) * 사조 - 전라감영 홈페이..
- Total
- 181,881
- Today
- 55
- Yesterday
- 234
- 호조
- 관청
- 조선왕조
- 노무현
- 조선시대
- 선화당
- 육조거리
- 육군
- 한성부
- 관아
- ROKA
- 티스토리
- 의정부
- 돈화문
- 대한제국
- 임진왜란
- 아정
- 비변사
- 사이버 조선왕조
- 동헌
- 추증
- 세종대로
- 증직
- 창덕궁
- 객사
- 경기감영
- 손카
- 조방
- 인민일보
- 도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