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8월 13일입니다.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날을 맞이하여, 두 편의 글 연재 중간에 간단한 내용으로 기념하는 글을 하나 올려봅니다.

부산 동래구 동래도호부 동헌 및 객사 (지적도)
1번 그림 - 경상도 동래도호부 동헌 및 객사 건물 배치도 (추정)


위 그림은 1912년 무렵의 지적원도(地籍原圖) 위에 경상도 동래도호부(東萊都護府) 동헌(東軒) 및 객사(客舍) 건물을 배치한 것입니다. 지적원도는 근대적 측량 기술로 가장 처음 만들어진 지적도를 의미하며, 따라서 별도의 지도가 존재하지 않는 한, 조선시대 또는 대한제국 시대 당시에 가장 근접한 지형, 지리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헌은 수령(守令, 지방관)이 거주하며 행정을 펼치는 공간이고, 객사는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신 건물입니다.

동헌을 이루는 주요 건물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 그림에 표기된 건물만 기재합니다.

ㄱ) 충신당(忠信堂) : 동헌 본청 건물 [현존]
ㄴ) 연심당(燕深堂) : 동헌 동쪽 건물, 동익랑(東翼廊) [현존]
ㄷ) 정원루(靖遠樓) : 동헌 서쪽 건물, 2층 누각(樓閣)
ㄹ) 내삼문(內三門) : 동헌 본청 대문. 편액 '동래독진대아문(東萊獨鎭大衙門)' [현존]
ㅁ) 망미루(望美樓) : 동헌 정문, 2층 외문루(外門樓). 편액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 [현존]
ㅂ) 작청(作廳) : 아전(衙前) 건물 (추정)

내삼문은 기록에 따라 외삼문(外三門)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망미루가 외문루 역할을 하므로 내삼문이 적절한 표기로 추론됩니다. 즉, 조선 후기 동래부 동헌은 내삼문-외삼문-외문루의 3중 체계가 아닌, 내삼문-외문루의 2중 체제로 진입로가 구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일 위 건물 배치도에서 외삼문이 존재하려면 빨간 화살표 부분에 담장과 함께 있어야 하는데, 여러 사진 및 도면 자료를 검토한 결과 그럴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다만, 외대문(外大門), 대문(大門) 등의 문헌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본래 내삼문(대문)과 외삼문(외대문)이 각각 있었는데 충신당을 원래 동헌 건물, 즉 충신당 북쪽에 있던 완대헌(緩帶軒, 1699년에 충신당에서 완대헌으로 개칭, 1701년에 중창) 남쪽에 새로 동헌 건물로 지으면서 공간 문제로 문을 하나 줄인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빨간색 숫자는 필지 번호(지번)이며, 보라색 글자는 일제강점기 초중반에 각 필지 및 건물의 용도입니다. 충신당을 중심으로 한 지역은 동래군(東萊郡) 군청(郡廳), 군청 남쪽은 금융조합, 남서쪽은 산업조합(창고?)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서쪽의 '법원'으로 표기된 건물은 부산지방법원 동래출장소입니다. 관련 논문에 따르면 이 법원 건물 자리에는 동래부사가 거느리고 있던 비장(裨將)이 공무를 보던 14칸[間] 규모의 비장청(裨將廳)이 있었고, 비장청에는 찬주헌(贊籌軒)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었다고 합니다. 이 일제강점기 법원 건물은 비장청을 허물고 새로 지은 것이 아니었었으므로, 법원 동래출장소 건물이 비장청이었다면 2014년 복원된 찬주헌은 제대로 된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동래 동헌 앞의 공터, 즉 망미루 서쪽의 넓은 공간은 오일장 장터(시장)로 활용되었습니다. 동헌 서북쪽에 객사가 있었는데, 객사 정문인 식파루(息波樓), 정문에서 직진하는 축선에 있던 6칸 중문(中門), 객사 정청(正廳)인 봉래관(蓬萊館)이 있습니다. 객사에도 10칸 규모의 내삼문이 있었는데 위 그림의 위치는 중문처럼 역시 추정입니다. 동래 객관(客館)의 동익헌은 인빈헌(寅賓軒), 서익헌은 질성헌(秩成軒)입니다.

객사 북쪽에는 송공단(宋公壇)이 있는데, 이 장소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헌(宋象賢, 1551-1592) 등을 향사(享祀)하기 위한 제단입니다. 임진왜란 이전에 정원루(靖遠樓)가 있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객사(+동쪽 관유지의 여러 관청 부지) 일대에는 1907년에 동래공립소학교(동래제1공립보통학교)가 들어섰으며, 다른 곳(현재 내성초등학교 자리)으로 이전하는 1937년까지 해당 필지에 존속하였습니다.

객사 서쪽 510번지에는 장관청(將官廳), 남쪽 460번지에는 향청(鄕廳), 540번지에는 군관청(軍官廳), 객사 필지 남서쪽(필지 분할 후 226-6번지)에는 중군청(中軍廳)이 있었습니다. 장관청은 원래 위치에 현존하며, 군관청은 1982년에 동래구 충렬사(忠烈祠) 지역으로 이전 보전되어 있습니다. 장관청을 528번지로, 510번지를 사창(司倉) 및 대동고(大同庫)로 유추한 논문도 있으나, 현재 존재하는 건물 내력을 참작하면 오류로 보입니다. 중군청 부분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경상남도 고건축물 목록)에 기반한 것입니다.

위 지적원도상의 각 건물 배치 중에서 동헌 내삼문 주변 건물 부분은 동래도호부 관아 건축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에 소개된 1927년 제작된 「동래읍성내배수병도로정비계획평면도(東萊邑城內排水並道路整理計劃平面圖)」에 근거하였으며, 정원루와 망미루 사이의 동헌 서쪽 건물 부분은 2020년 10월에 올렸던 '경상좌수영, 동래도호부, 동래감리서, 부산진 및 다대포진 객사 이야기' 글의 4번 이미지를 주로 참고하였습니다. 이외에 다수 이미지 자료를 확인하였는데, 가장 눈여겨본 사진을 소개합니다.

부산 동래도호부 동헌 전경 (법륜사지 촬영)
2번 사진 - 경상도 동래도호부 전경 (학소대 자리에서 촬영)


위 사진은 동래읍성 안에 있던 나지막한 언덕인 학소대(鶴巢臺)에서 서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학소대는 현재 법륜사(法輪寺)라는 절이 있는 곳으로, 앞의 1912년 지적원도에서 보면 241번지 동래제1공립보통학교 분교사(分校舍) 동쪽에 인접한 필지(이미지 바깥의 동래구 칠산동 239번지)입니다.

사진에 표기한 각 화살표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정이므로 오류 가능성 일부 있음)

ㄱ) 빨간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동헌 충신당
ㄴ) 분홍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동헌 동익랑 (연심당)
ㄷ) 파란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외문루 (망미루)
ㄹ) 초록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내삼문 (동래독진대아문)
ㅁ) 밤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작청
ㅂ) 보라색 화살표 : 동래도호부 누각 (정원루)
ㅅ) 노란색 화살표 : 동래 객사 외문루 (식파루)

동래도호부 동헌 동쪽, 북쪽의 여러 건물에 대한 위치, 규모, 외형을 짐작하는 데 크게 도움 되는 사진 자료입니다. 특히 이 사진에서 솟을삼문(솟을三門, 동래독진대아문)이 하나만 보이는 것이 바로 (앞 1912년 지적도의 건물 배치도에서) 외문루인 망미루 안쪽의 동래도호부 동헌 진입 체계가 내삼문-외삼문이 아닌 내삼문 1개로 되어 있었다고 판단하고 기재하게 된 이유였습니다.

1870년(고종7)에 관아 건물을 정비할 때 동헌 내삼문 3칸을 새로 건축[新建]했다는 기록이 있어서 1765년(영조41)에 '동래독진대아문' 편액을 걸었던 문(외삼문)과 별개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때 동헌 건물군을 크게 고쳐 지으면서 기존 외삼문을 허물고 신축 내삼문으로 편액을 옮겨 달았다고 봐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도호부 관아 건물 배치 항공사진
3번 사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도호부 관아 건물군 배치도


위 사진은 현대 항공사진에 1912년 지적도의 동래부 건물 배치 추정도를 겹친 것입니다.

원래 자리에 그대로 현존하는 충신당, 연심당, 장관청, 송공단 등의 건물과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옮겨온 망미루 및 동래독진대아문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망미루는 부지(수안동 421-26과 421-47 사이)를 확보하지 못해서, 동래독진대아문은 동래부 동헌 소재지를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1928년 개설, 명륜로112번길) 때문에 본래 위치(수안동 421-60과 421-2 사이의 북쪽 도로 위, 외대문 터 표지석 근처)에 복원되지 못한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학계에서는 동헌 진입 체계를 외문루-외대문(외삼문)-내삼문였던 것으로 보고 있기에 동래독진대아문과 별도로 내삼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내삼문은 충신당 건물 정면에, 동래독진대아문은 서행랑, 즉 서쪽 내행랑 자리에 위치).

동래 지역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니고 있던 누각인 정원루는 아직 복원되지 않았는데, 2015년에 복원한 고마청(雇馬廳) 부속 건물의 자리와 원래 건물 부지가 절반 정도 겹친 상태입니다. 실제 건물이 있던 자리에는 엉뚱한 건물을 복원하고 정원루는 서쪽으로 약간 이동한 자리(망미루가 옮겨 온 지점 북쪽)에 다시 지으려는 계획이 있었는데, 이런 식의 옛날 건물 복원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입니다. 주민 동의 문제로 나머지 건물에 대한 복원 사업이 2018년 12월에 중단된 것이 다행이라 여겨질 정도입니다.

동래도호부 청사 건물 배치도 상세 (비장청, 내행랑 일대)
4번 그림 - 동래도호부 비장청(裨將廳) 및 내행랑(內行廊) 배치 추정


위 4번 그림은 제일 위 그림의 1912년 지적도에서 비장청(찬주헌) 및 내행랑 일대를 확대 조망한 것입니다.

왼쪽의 [추정A]는 1927년 「동래읍성내배수병도로정비계획평면도(이하 평면도)」에 기반하여 지방법원 동래출장소 건물로 사용되던 비장청과 동헌(충신당) 내행랑 평면을 추정한 것입니다. 비장청 북쪽의 각 8칸 건물 두 동(棟)도 사진 자료를 참고한 것입니다. ㄷ자 형태의 비장청(법원) 건물 규모가 다소 작아 보이고 내행랑 부분이 약간 과도하게 두터운 모양(행랑이 1칸 폭이라기에는 너무 넓어서 2칸으로 추정함)으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 「평면도」에서는 법원 건물이 더 작게 묘사되어 있기에 1927년 「평면도」는 정밀한 측량 비율대로 작도된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름 보정하여 [추정B]를 만들어봤습니다.

사진 자료를 참고하여 빨간색 화살표의 비장청(찬주헌) 건물 면적을 확대 조정하고, 내삼문(동래독진대아문) 폭을 감안하여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된 내행랑 너비를 일부 수정(서행랑, 남행랑을 1칸으로, 동행랑을 2칸 규모로)하였습니다. 그리고 보라색, 초록색, 노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내삼문 남쪽 지역의 건물과 담, 행랑(동행랑의 남쪽 확장) 등을 추가하였습니다. 아래 5번 사진 자료를 반영한 것인데, 각 건물 용도는 미상입니다. 비장청 북쪽 건물도 일부 조정하였습니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또는 1칸 반)일 수 있습니다.

동래도호부 동래독진대아문 일대
5번 사진 - 동래도호부 내삼문 밖 건물들


마지막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사진 가운데 동래 지역의 민간인을 촬영한 것입니다. 사진 제목은 '부산동래 부인 풍속(釜山東萊 婦人 風俗)'이며,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촬영되었습니다. 1911년부터 1916년 사이에 집중된 일본의 체질인류학 조사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수많은 체격측정 사진 가운데 하나입니다.

ㄱ) 파란색 화살표 : 동래 동헌 내삼문 '동래독진대아문'
ㄴ) 보라색 화살표 : 내행랑 바깥 동쪽 건물 (내행랑 동쪽의 동행랑이 남쪽으로 연장된 평면?)
ㄷ) 초록색 화살표 : 작청(질청)에서 이어지는 선상에 있는 건물 (벽돌로 지어진 근대 구조물)
ㄹ) 노란색 화살표 : 금융조합 자리에 있었던 정면 3칸 건물

사진 오른쪽에 흰색 글씨가 좌우반전으로 쓰여 있으나, 사진은 정상 상태입니다. 다른 유리건판 사진들도 손으로 쓴 글씨가 좌우 반대로 기재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사진에 보이는 그대로 건물 배치를 추정하여 앞의 추정 평면도 [추정B]에 표시하였습니다.

나중에 금융조합이 들어서는 이곳 내삼문 밖 건물 앞마당 사진촬영 장소에는 1914년 당시에 일본 헌병이나 경찰 기관이 들어서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지역에서 찍은 체격측정 사진 일부가 헌병 통제하의 건물에서 촬영되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동래군청이 기존 감리서 자리로 옮겨갔다가 다시 동래 동헌인 충신당 건물로 돌아온 것은 1911년 또는 1914년입니다. 3칸 건물 남쪽으로 기단부가 계속 이어져 있는 것이 눈에 띕니다. 조선시대에 어떤 용도로 사용된 건물이었을지 궁금한 순간입니다.



※ 지난 4월에 동래도호부 독진대아문에 관한 댓글을 달아주신 분이 계셨습니다. 그와 관련한 논문, 사진, 고지도, 읍지 등의 자료를 틈틈이 살펴본 후, 그때 댓글로 달았던 내용을 보충하고 보완하는 차원에서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소중한 댓글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022.08.13 - 최초 등록
2022.08.17 - 3번 항공사진 이미지(와 설명) 추가
2022.08.19 - 4번 비장청 및 내행량 추정 평면도 이미지(와 설명) 추가
2022.09.20 - 5번 이미지(와 설명) 추가 및 4번 이미지의 [추정B] 수정
2023.06.01 - 4번 이미지의 [추정B]에서 비장청 북쪽 행랑채를 4x2에서 4x1로 수정
2023.09.27 - 1번 이미지에 '(중군청)' 표기 및 관련 내용 추가


음료 한 잔 후원 블로그 주인장(글 작성자)에게 음료 한 잔 후원하기 : 토스로 익명 선물 (클릭)    토스로 익명 선물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