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도공(文度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이 그의 저서 『경세유표(經世遺表)』에서 제안한 과거(科擧) 제도 개정안.
현행.
- 문과(文科)를 소과(小科)와 대과(大科) 2단계로 구분.
- 소과는 향시(鄕試)인 초시(初試)와 회시(會試)인 복시(覆試) 2차로 구성되며, 최종적으로 생원(生員) 100명, 진사(進士) 100명 선발.
- 대과는 향시, 복시, 전시(殿試)의 3차로 구성되며, 복시에서 급제자 33명 선발 후 전시에서 급제자 갑을병(甲乙丙) 등급 결정.
- 무과(武科)는 초시인 향시 및 원시(院試)와 복시, 전시의 3차로 구성되며, 복시에서 급제자 28명 선발 후 전시에서 급제자 갑을병 등급 결정.
- 정기 과거인 식년시(式年試)와 특설 과거인 증광시(增廣試) 이외의 별시(別試)는 통상 복시, 전시만 시행하며, 급제자 수는 유동적.
개정안.
- 문과의 소과, 대과를 통폐합하여 1단계로 함.
- 소과의 명경과(明經科), 즉 생원시(生員試)를 폐지하여 진사시에 통합.
- [경세유표] 권2. 하관병조(夏官兵曹) 정관지속(政官之屬) 및 권3. 천관수제(天官修制) 삼반관제(三班官制) : 대과 문무과 회시에서 각 200명 선발 후, 도시(都試)에서 36명을 급제시킴. 즉 36명이 급제출신(及第出身)이고 나머지 164명은 문과의 경우 진사(進士), 무과의 경우 진무(進武).
- [경세유표] 권15. 춘관수제(春官修制) 과거지규(科擧之規) 및 하관수제(夏官修制) 무과(武科) : 대과 문무과 회시에서 각 240명 선발 후, 도시에서 40명을 급제시킴. 나머지 200명은 진사 또는 진무. (앞의 하관병조 정관지속 및 천관수제 삼반관제 수록 내용과 상충)
- 진사와 진무 중 일부를 천거로 발탁 등용.
- [안내] 본 블로그 글(저작물)은 저작자의 명시적 허락 없이는 복제·복사·게시·배포·전시·공연·전송 및 매체 전환, 포맷 변경 등을 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범위의 인용 또는 보도·비평·교육·연구 등을 위한 정당한 범위 내에서의 공정한 관행에 따른 '인용'은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 #이 글의 주소 : lembas.tistory.com/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