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초, 그러니까 아이폰13 미니가 출시된 직후 구입해서 오늘로 약 1년 2개월 가량 사용중인 상태인데, 설정-배터리 매뉴에서 [배터리 성능 상태 및 충전] 화면을 보면 배터리 성능 최대치, 즉 보통 배터리 성능 효율 또는 웨어율(Ware率)이라고 하는 수치가 아직 100%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조사에서 100% 표시 구간을 다소 넉넉하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기에 숫자 그대로 믿을 수 없지만, 그래도 최초 설계 용량과 현재 배터리 회로 용량에 큰 차이가 없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핸드폰을 어떻게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년 정도 아이폰을 사용한 시점에서 이 수치는 85%에서 95% 사이가 되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80% 아래로 떨어지면 폰 사용 시간이 체감될 정..
위 사진은 UMC Digital Galleries, 즉 미국 연합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디지털 사진 갤러리 사이트에서 공개하고 있는 사진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진 제목은 'Shoveling with a nine-man shovel(9인용 삽으로 삽질하기)' 및 'Shoveling in Korea(한국에서 삽질하는 모습)'이며, 사진 설명처럼 좌우 4명씩의 인부가 삽에 연결된 줄을 양쪽에서 당기는 형태로 삽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진 뒤로 보이는 건물들이 궁금했는데,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99.98% 확률로) 사진 촬영 장소를 한양도성(漢陽都城) 서대문(西大門)인 돈의문(敦義門, 새문) 밖 경기감영(京畿監營) 인근으로 추정합니다. 사진 왼쪽에 보이는, 지붕 용..
개인적인 일로 연재가 약간 늦어졌습니다. 지난 11월에 올린 '영천읍성 남문 위치 비정' 글에서 영천읍 남문(南門)의 소재지 및 외형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이번 편은 앞서 예고한대로 조선시대 영천군(永川郡)의 동헌(東軒) 및 객사(客舍)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미지 번호는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위 8번 사진은 일제강점기 시기인 1910년대 영천읍(永川邑) 전경입니다. 『경북사진편람(慶北寫眞便覽)』이라는 책자에 수록된 영천군 사진 가운데 하나로서, 영천읍 서북쪽의 마현산(馬峴山) 기슭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1916년 12월에 발행된 『경북사진편람』 책자는 당시 경상북도 관내 주요 군(郡)의 전경, 군청, 경찰서 등 사진을 수록하고 있는, 경북 지역 조선시대 관아(官衙) 건축 연구에 있어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