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육조판서(6조 장관)의 서열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사이트에서 역사적 인물의 관직을 추증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만들 때 육조판서(六曹判書)의 서열이 궁금했던 적이 있었다. 정2품 판서로 추증(追贈)하더라도, 이조판서로 추증할 때와 공조판서로 추증할 때가 달랐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람들의 추증 관직이 판서급인 경우는 대개 '이조판서'였던 것에서 비롯된 궁금증과도 무관치 않다. 추증을 설명하자면, 어떤 인물이 죽은 후에 그 사람의 생전 관직(직함)을 올려주는 것을 말한다. 오늘날의 계급, 훈장 추서(追敍)와 비슷한 일종의 포상(褒賞)이라고 할 수 있다. 증직(贈職)도 추증과 같은 의미의 단어인데, 생전에 관직이 있었던 경우는 증직, 관직에 진출하지 못했던 경우는 추증이라고 하는 것 같다(양자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있는 것은 아님..
역사/일반
2007. 7. 3. 22:05
댓글 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181,881
- Today
- 55
- Yesterday
- 234
링크
TAG
- 동헌
- ROKA
- 대한제국
- 티스토리
- 한성부
- 호조
- 조선왕조
- 도필리
- 노무현
- 아정
- 임진왜란
- 추증
- 사이버 조선왕조
- 창덕궁
- 의정부
- 관청
- 객사
- 비변사
- 경기감영
- 조선시대
- 증직
- 세종대로
- 인민일보
- 손카
- 조방
- 돈화문
- 육조거리
- 선화당
- 육군
- 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