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관아 건축물의 배치와 형태를 추론할 때, 우연히 발견한 한 장의 사진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진이 없었을 때는 문헌 기록이나 회화에 등장하는 건물의 묘사, 그리고 근래에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만을 가지고 실제 건물의 형태와 배치를 추정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고, 보고서나 논문으로 나온 결과물 자체의 정확성에도 의문을 품게 하는 사례가 많다. 사진이 단 한 장이라도 있다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 그 대표적인 예가 되겠다(?). 위 1번 이미지는 경상북도 청하군(淸河郡)의 군청(郡廳) 전경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2018년에 일본 경매 사이트에서 상당한 가격에 낙찰된 회엽서(繪葉書, 사진엽서) 가운데 하나인데, 이 엽서와 같이 낙찰된 사진엽서 한 장이 ..
역사/관아
2022. 6. 6. 21:35
댓글 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180,916
- Today
- 134
- Yesterday
- 175
링크
TAG
- 임진왜란
- 대한제국
- 세종대로
- 동헌
- 선화당
- 의정부
- 증직
- 비변사
- 돈화문
- 아정
- 육조거리
- 육군
- 관청
- 사이버 조선왕조
- ROKA
- 호조
- 객사
- 인민일보
- 티스토리
- 관아
- 추증
- 노무현
- 한성부
- 도필리
- 조선왕조
- 창덕궁
- 경기감영
- 조선시대
- 손카
- 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