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정(雅亭)

프로필사진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
  • 태그
  • RSS

아정(雅亭)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17)
    • 일반 (29)
      • 기본 (14)
      • 문서 (2)
      • 군사 (11)
      • 냠냠 (2)
      • 소리 (0)
      • 신문 (0)
      • 인민 (0)
      • 삼클 (0)
      • 끄적 (0)
    • 역사 (74)
      • 일반 (12)
      • 사료 (3)
      • 자료 (5)
      • 사진 (6)
      • 문헌 (6)
      • 관아 (42)
      • 인물 (0)
    • 작문 (14)
      • 서사 (0)
      • 전기 (1)
      • 유기 (0)
      • 필기 (2)
      • 논변 (2)
      • 풍유 (0)
      • 서발 (4)
      • 비갈 (1)
      • 애제 (0)
      • 잡기 (4)
    • 갤러리 (0)
      • 디카 (0)
      • 손카 (0)
      • 그림 (0)
  • 방명록

관아 (18)
경상좌수영, 동래도호부, 동래감리서, 부산진 및 다대포진 객사 이야기

※ 블로그 글을 쓰기 위해 자료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기존 자료나 논문, 웹페이지에 볼 수 없었던 사진들을 담은 사진첩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 사진첩 수록 사진 가운데, 현재의 부산광역시 권역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 시기의 동래(東萊) 지역에 관계된 몇 장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잠시(?)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 본 글에 올린 사진은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사진첩 수록 사진에 일부 편집(사이즈 조절, 흑백 전환, 명암 조정 등)이 적용되었습니다. (사진첩 출처 및 열람 주소는 글의 마지막 부분에 링크합니다.) 위 1번 이미지는 예전에 잠시 유행하던 조선시대 사진입니다. '조선시대 선글라스', '선글라스를 쓴 조선 관리', '조선 최고의 아이템 선글라스' 등의 키워드로 한때 회자되었습니다. 사..

역사/관아 2020. 10. 18. 23:36 댓글
호조(탁지부) 관청 청사의 건물 배치 및 변천에 관한 소고(小考) - 2편

※ 1편 글을 올린 지 3개월여 시간이 지났습니다. 12월 말부터 한 달 가량은 평소처럼 움직이기 힘들었고, 그 이후로도 글 작성을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이렇게 2월 마지막 날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시절입니다. 이 시기를 잘 이겨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본 문서에 첨부하는 이미지 파일들의 최초 생성 날짜를 살펴보니 2018년 7월이었습니다. 글을 써나가는 동시에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략 머릿속으로 어떻게 써야겠다고 생각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먼저 제작하는 방식을 취하다 보니, 그 당시에 '이런 내용을 설명하려면 여기에 화살표를 넣고 이런 표시를 하고..' 했던 이유가 기억나지 않을 지경이 되었네요. 1년 반이 지났으니 그럴 만도 하지요. 그 때문에 글 쓰는 방식과 절차를 조금은 ..

역사/관아 2020. 2. 29. 15:58 댓글
호조(탁지부) 관청 청사의 건물 배치 및 변천에 관한 소고(小考) - 1편

※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안팎으로 조금은 바쁜 나날들이었습니다. 환절기 건강에 유의하세요~!! ※ 작년 6월에 블로그 운영을 재개하고 지금까지 주로 올린 글의 주제가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 시기의 관청(官廳, 관아) 청사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번에 다룰 '호조(戶曹) 관청 청사의 건물 배치 및 변천에 관한 소고(小考)'는 그러한 여러 편의 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내용이 될 것입니다. '언젠가는 호조 청사에 관한 글을 정리해 올려보겠다'는 마음을 가졌던 것이 불로그 재개의 원동력이었기 때문입니다. 다짐과 기대가 컸던 것에 비해 내용이 많이 부실할 수 있지만, 하여간 2018년 여름에는 제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_~; ※ 본 글은 지난 2월에 올린 '광화문 앞 육조거리 6조 관청 청사..

역사/관아 2019. 11. 17. 23:23 댓글
창덕궁 돈화문 앞 비변사 청사 터 이야기 - 1편

조선왕조의 대표적 궁궐 가운데 하나인 창덕궁(昌德宮), 그 정문인 돈화문(敦化門) 앞에 창덕궁 삼거리 교차로가 있다. 그리고 그 한편에 비변사(備邊司) 터 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5 또는 5-6번지이며, 기념표석에 새겨진 글귀는 아래와 같다. 비변사 터 備邊司 址 조선시대 외적의 방비와 국가 최고 정책을 논의하던 관아 터. 중종 때 창설되어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음. 비변사의 정확한 설치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지만,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따르면 1510년(중종5)에 발생한 삼포왜란(三浦倭亂)을 기점으로 1510년 또는 1517년(중종12) 6월경에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후 1592년(선조25) 4월에 발발한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기점으로 ..

역사/관아 2018. 11. 11. 16:03 댓글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안내] 관아 및 군사 분야 글 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사이버 조선왕조
  • nasica (나시카의 뜻은?)
  •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
  • 팬더 아빠의 전쟁사 이야기
  • 오로라의 군사·전쟁사
  • 미육군 편성 및 개편
  • 프라모델과 밀리터리
  • Board & HISTORY
  • 전차맨의 취미 모형
  • 금수님의 역사 그림들
  • 무운정(霧韻亭)
  • 임진왜란 사료연구소
  • 게렉터블로그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외계인 마틴
  • 대한민국 문화재청
TAG
  • 한성부
  • 창덕궁
  • 세종대로
  • 노무현
  • 돈화문
  • 사이버 조선왕조
  • 육조거리
  • 경기감영
  • 선화당
  • 조선왕조
  • 동래도호부
  • 조선시대
  • 호조
  • 관아
  • 육군
  • 동헌
  • 객사
  • 아정
  • 손카
  • 대한제국
  • 삼척도호부
  • 도필리
  • 임진왜란
  • 인민일보
  • ROKA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 도필리의 블로그 아정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