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격조했습니다. 마지막 글을 올린 지 어느덧 4개월, 그야말로 빠르게 흘러가는 물결 같은 시간의 연속입니다.본 블로그에서 걱정했던 삼척도호부 동헌(202번 글 새창 열기) 복원 공사가 당초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삼척시청 입찰 공사 문서를 보니 복원 지역 위치가 여전히 성내동 14번지가 아닌 '12-1번지 일원'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죠. 소위 '어른들의 사정'이라는 것 때문인지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국민신문고 신청도 별다른 효과가 없었습니다. 문화재청 요구로 설계 보완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보도가 있는 것을 보면, 어쩌면 블로그에서 제기한 내용이 일부 반영되었을 수 있겠지만요. 그런 면에서 보면 얼마 전에 공개한 세종대로 광화문관장 옆 의정부지(議政府址, 의정부 터) 역사유적광장 개방은 매..
오늘 2월 29일, 4년마다 돌아오는 2월 마지막 날입니다. 본래 몇 달 전부터 예고하던 경상좌수영 수군진 글을 올려야 하나 시간이 여의찮고 추가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 게재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매달 한 편씩 짧은 글이나마 올리지 않을 수 없기에 간략한 다른 내용으로 대신합니다.약 120년 전에 이 땅에 존재하던 대한제국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신식 군대를 양성했습니다. 편성표 숫자를 기준으로 그 규모가 약 30개 대대(大隊) 2만 8천 명을 넘을 정도였죠. 물론, 외형적인 숫자만 그러했을 뿐입니다. 훈련과 무기 및 탄약 자체 조달에 있어 내실이 크게 부족하고 군대 양성과 유지 목적 자체가 외세 침략에 대한 대응보다는 내부 민란이나 반란을 막기 위한 용도가 강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1907년 군..
사진 한 장을 간략하게 살펴보는 글 제5편입니다. 1월도 어느덧 월말이네요. 바쁘게 지나간 한 달이 이처럼 열두 번 반복되면 2024년 한 해도 훌쩍 지나가지 않을까 합니다. 세월이 유수(流水, 흐르는 물)와 같다더니, 정말 빠릅니다.위 사진은 조선시대 평안도 북쪽 국경의 의주부(義州府) 읍성 남문(南門)을 안쪽에서 촬영한 사진엽서입니다. 의주는 본래 정3품 목사(牧使)가 있던 의주목(義州牧)이었는데 1603년(선조26)에 종2품 부윤(府尹)이 부임하는 곳으로 승격되었죠. 읍성 남문을 바깥에서 찍은 사진은 여러 판본이 전해지고 있는데, 성 내부에서 바라보고 찍은 사진은 이게 거의 유일한 것 같습니다.의주읍성 남문은 2중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위 사진은 일명 '내남문(內南門)'으로 의주성 남쪽에 있었던 정..
영화 〈서울의 봄〉을 개봉 직후 관람했는데, 오랜만에 여운이 길게 남는 영화였습니다. 일부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극적 효과를 위한 각본이었다고 넉넉히 이해될 정도였죠. 주·조연 배우들의 연기가 뛰어났고 각종 무대와 소품도 고증에 꽤 충실했습니다. 이미 알려진 내용을 긴박하게 풀어가는 것이 참 좋았던, 이 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과거 역사에 대해 관심과 반성을 가지게 하는 좋은 영화였네요. 그래서 영화를 보고 난 후, 그 과정을 정리할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런저런 일로 많이 늦었지만, 2023년을 마무리하는 날에 올려봅니다. (예고했던 경상좌수영 수군진 글은 다음에...)12·12 쿠데타(Coup d'État)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 한 달 보름 전에 일어난 박정희(朴正熙..
지난 8월에 올린 글에서 육군 계급 체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문서 새창열기 링크). 간혹 '일등상사', '이등중사' 등의 검색어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이번에는 건군 이후 대한민국 육군의 계급 제도 변동 내역에 관해 역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지난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적색 바탕은 장성(將星, 장군), 보라색은 영관(領官), 파란색은 위관(尉官), 노란색은 준사관(準士官), 녹색은 부사관(副士官, 하사관), 갈색은 병급(兵級)입니다.1945년 8월 15일 해방 다음 해인 1946년 1월 15일에 남조선국방경비대 제1연대가 정식 창설하였으며, 이때 계급 명칭이 마련됩니다.영관 : 정령(正領), 부령(副領), 참령(參領)위관 : 정위(正尉), 부위(副尉), 참위(參尉)하사관 : 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장군이 1597년(선조30)에 두 번째 백의종군(白衣從軍)을 당해 최전선으로 향했다가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어 그해 9월에 명랑대첩(鳴梁大捷)을 거둔 곳 인근인 전라우수영 지역까지 이동한 경로를 표시한 남행도(南行圖)입니다. 예전에 올렸던 것인데, 일부 미비점이 있어 내용 보완 후 다시 등록(공개 전환)하는 것입니다. 지도는 1861년(철종12)에 간행된 〈동여도(東輿圖)〉 기준이며, 날짜별 행적 경로는 이은상(李殷相, 1903-1982) 역(譯)의 현암사 개정판 『난중일기(亂中日記)』 기술 내용에 기초하였습니다. 수록 기간은 정유재란(丁酉再亂)이 발발한 1597년(정유년) 4월 초1일에 옥문[圓門, 감옥 문] 밖을 나온 이후부터 동년 8월 초3일 진..
지도에만 존재하는 기차역이 있습니다. 바로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 속의 철도역 연박역(硯朴驛)입니다. 위 지도는 충북선(忠北線) 연박역(硯朴驛)이 표시된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시대별 지형도입니다. A 지도는 1970년대 지형도입니다. 아직 충북선이 연박리(硯朴里) 지역이 지나지 않았던 시절의 지도이기 때문에 연박역이 없습니다. 연박리 북서쪽의 원박리(院朴里) 지역을 지나던 충북선이 이곳 연박리 지역으로 옮겨진 것은 1980년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충북선 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봉양역(鳳陽驛)과 공전역(公田驛) 사이의 선로를 최대한 직선화시키고 선로의 고저 차이에 의한 철도 운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이설 공사를 추진했던 것입니다. 경사도(선로 기울기)가 높아 긴 화물열..